◀ANC▶
제주도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20조 원의
투자계획을 세웠지만
내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나왔습니다.
또 인구가 줄면서 소멸 위험이 높은
읍면동에 대한 대책이 미흡하다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제주도정이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는
'탄소 없는 섬 2030' 정책.
그러나 겉포장에만 집중할 뿐
내실은 없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이승아 도의원은
제주도가 2030년까지
전기차 37만 대 보급 목표를 세웠으나
지금까지 6.4%인 2만 4천 대에
그쳤다고 지적했습니다.
해상풍력발전 실적도
계획 대비 1%도 안 된다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 관련
각종 법정계획을 세우고
2030년까지 20조 원을 투입하겠다고 했으나
투자 효율이 떨어지고
주민 체감도도 낮다고 꼬집었습니다.
◀SYN▶이승아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정말 제주도가 기후변화, 탄소중립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는 것에 대해서 형식적인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1순위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를 인정하고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YN▶구만섭 도지사 권한대행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를 설치, 운영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이제는 체계적인 계획과 집행,
평가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노령층의 급속한 증가와
인구 감소로 제주도내 마을들의
소멸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도 제기됐습니다.
43개 읍면동 가운데
섬지역과 농촌, 원도심 등
제주시 5곳, 서귀포시 10곳이
위험한 상태인데도
대책은 미흡하다는 것입니다.
◀SYN▶오대익 교육의원
\"(제주)도청에서, 도의회가 이 소멸위험지수에 대해서 관심을 아직까지 못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문제가 있다고 새각합니다.
이제부터 대응해야 합니다.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한편, 구만섭 도지사 권한대행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법정 기한인 이달 말까지
도의원 정수를 3명 늘리는
제주도특별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현행 도의원 정수 범위 안에서
선거구를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송원일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보도국장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