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오늘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자
제주지역에서도 1호 처벌 대상이 되는 것은
피해보겠다며
공사를 중단하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노동계는 제주지역 실정에
맞지 않는 법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대형건설회사가 시공하는
제주시내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
대형 중장비들이 멈춰 섰고,
공사 자재들이 정리된 채 쌓여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자
다음달 2일까지
건설 노동자들에게 설 연휴를 준다며
공사를 중단한 것입니다.
◀SYN▶ 공사장 관계자
\"저희 직원분들 (공사현장) 정리만 해놓고 다들 명절 쇠러가는 일정으로 알고있어요\"
또다른 대형건설사가 시공하는
리조트 신축 공사 현장도 사정은 마찬가지.
설 연휴 휴가를
다음달 2월 7일까지로 연장 하고
공사를 중단시켰습니다.
(CG)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르면
1명 이상 숨지거나
6개월 이상 치료해야하는
부상자가 2명 이상 나오면
사업주나 경영책임자가
1년 이상 징역이나 10억 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이러다보니 관심이 집중되는 법 시행 초기에
'1호 사건'이 되는 것을 피하려고
공사가 줄줄이 중단된 것입니다.
◀INT▶ 고규진 대한건설협회 제주도회 사무처장
\"원청 하청 구조로 돼 있기 때문에 책임 소재 부분이라든지
경영관리책임자의 범위 준수할 내용에 대한 규정들이 있는데
추상적인 부분들이 있다보니까.\"
반면 노동계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실질적인 효과가 낮을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제주지역 사업장의 99%를 차지하는
50인 미만 사업장이
중대재해처벌법에서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INT▶ 부장원 민주노총 제주지역본부 사무처장
\"중대재해처벌법의 전면 적용,
발주처의 공기단축 강요에 대한 처벌,
인과관계 추정도입, 부당한 인허가나 감독을 행한 공무원의 처벌 등
핵심조항을 반영하기 위해 법 개정 투쟁에서 적극 나설 것이다.\"
지난 2천20년
제주지역에서 중대재해로
숨진 근로자는 모두 11명.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지만
아직까지 관련 사례나 판례도 없어
당분간은 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MBC 뉴스 박주연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