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멸종위기 반달가슴곰 4마리, 제주 이주

이소현 기자 입력 2023-12-15 20:43:20 수정 2023-12-15 20:43:20 조회수 0

◀ 앵 커 ▶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반달가슴곰 4마리가

제주로 이주했습니다. 


 곰 사육을 끝내기로 사회적 합의를 맺은 뒤

사육 중인 곰이 보호시설로 옮겨진 건 

이번이 처음인데요. 


 적응 기간을 갖은 뒤

빠르면 다음 달에 일반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드넓은 오름 아래 펼쳐진 생태학습장. 


 중장비가 곰 그림이 그려진 운반용 우리를

조심스레 옮깁니다.


◀ SYNC ▶ "자, 돌립니다."


 우리 문이 열리자,

검은색의 곰이 한참을 머뭇거리다 

건물 안으로 들어갑니다.


 국제적 멸종 위기종인 반달가슴곰입니다.


 경기도 용인의 한 전시관람용 시설에서 지내다 14시간 동안 배와 차를 갈아타고 

제주로 이주했습니다. 


 ◀ INT ▶ 강창완 / 제주자연생태공원 원장 

 "계속 옮길 때마다 (운반용 우리) 거기서 나오려고 작은 문을 열거나 이런 현상을 보였는데 건강 상태는 굉장히 양호하고요."


 제주로 온 반달가슴곰은 모두 4마리로, 

올해 열 살이 된 암컷과 수컷 2마리씩입니다. 


 곰들이 지낼 제주 둥지는 

기존 농장보다 서른 배 넓고, 

놀이를 할 수 있는 방사장까지 갖춰졌습니다. 


◀ INT ▶ 강명균 / 제주도 환경정책과장

"지금 입식된 거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쭉 관리를 해오고, 관리사 2명, 촉탁 수의사 1명을 투입해서"


 이번 이송은

지난해 곰 사육을 중단하기로 한 

환경부와 사육농가의 협약으로 시작됐습니다. 


◀ st-up ▶

"협약 이후 사육되던 곰이

보호시설로 이송된 건 제주가 첫 사례입니다." 


 2026년부터 곰 사육을 중단하기로 하면서

이미 사육 중인 곰들을

전국의 보호시설을 갖춘 곳으로 옮기는 겁니다.


 ◀INT ▶ 이정원 / 환경부 환경사무관

 "사육 곰을 더 좋은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해 구례, 서천군에 사육 곰 보호시설을 건립하고 이송할 계획이고, 곰 사육 금지 또한 야생생물법을 개정하여 법제화를 할 예정입니다."


 제주도는

반달가슴곰이 새로운 보금자리에

안정적으로 적응하는 기간을 거친 뒤

한 두달 뒤 일반에게 공개할 계획입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소현
이소현 pine748@daum.net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