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4·3 명예회복을 이끈 기록 '수형인 명부'

조인호 기자 입력 2025-03-31 20:55:45 수정 2025-03-31 20:55:45 조회수 0

◀ 앵 커 ▶

제주 4·3사건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여부가

이달 안에 결정됩니다.

제주MBC는 기록물의 내용과 가치를 살펴보는

기획뉴스를 마련해 네 차례 보도하는데요.

4·3 당시 내란죄라는

무서운 누명을 뒤집어썼던 사람들의

명단인 수형인 명부도

세계기록유산에 이름을 올릴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근대 행정과 사법체제가 시작된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공문서 천만점을

소장한 국가기록원.

 1948년 12월과 1949년 6월

군법회의에 회부됐던

제주도민 2,530명의 명단인

수형인 명부가 이곳에 있습니다.

 군경의 초토화작전을 피해

한라산에 숨어있다 체포된

농민과 주부, 학생 등

민간인들이었습니다.

 공산주의자로 몰린 384명이

내란죄로 사형 선고를 받았고

2천여 명이 전국 형무소에 수감된 뒤

6.25전쟁 당시 집단학살됐습니다.

 반세기 동안 창고 안에 쌓여있던

수형인 명부는 1995년 정부기록보존소

학예연구사 김재순씨가 발견했습니다.

◀ INT ▶

김재순 / 당시 정부기록보존소 학예연구사

"깜짝 놀랐어요. 피고 측은 항변이 무죄인데 판결은 사형 이렇게 되어있더라고요. 백 명씩 단위로. 그래서 이건 뭐지? 이거? 야 이게 사람의 생명이라고 하는 것을 이렇게 함부로 했구나."

 4.3이 금기시되던 시절

혼자서 비밀을 간직했던 김씨는

4년 뒤인 1999년 추미애 의원에게

수형인 명부를 전달했습니다.

 무고한 민간인들이 집단 희생된 기록이

처음으로 공개되면서

4.3 특별법을 제정하는 기폭제가 됐습니다.

◀ INT ▶추미애 / 당시 새정치국민회의 의원

"제주4·3사건의 진상과 역사적 성격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일 뿐만 아니라 사망 일자와 활동내역을 밝히는 데에도 중요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4.3 진상규명운동을 하던 양동윤씨는

수형인 명부를 바탕으로

형무소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을

찾아다녔습니다.

 평생을 전과자로 살아온 수형인들은

억울하다며 재심을 청구했고

법원은 군법회의 절차가 잘못됐고

증거도 없다며 공소기각과 무죄 판결을

내렸습니다.

양동윤/4·3 진상규명 명예회복 도민연대 대표

"이 분들이 이구동성으로 수형인 명부의 군사재판 받았어, 그런데 재판이 아니라 이런 얘기 억울하다"

 국가가 전과자라는

멍에를 씌우려고 만든 기록이었던

수형인 명부는

불법 재판을 바로 잡는 기록이 되어

명예회복을 이끌어내는 힘이 됐습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조인호
조인호 hints@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