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초기
가장 어려웠던 문제는
희생자가 몇 명인지
정확한 피해 규모를 알 수 있는 기록이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1990년대 제주도민들이 직접 손으로 써서
도의회에 제출했던 피해신고서 만 4천 장은
4·3 진상규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제주도의회 4·3 피해신고실이
문을 연 것은 1994년.
4·3 사건이 발생한 지 반세기만에
공식적인 피해조사가 시작됐습니다.
◀ INT ▶김영훈/당시 제주도의회 4·3 특별위원장
(1994년 2월 7일)
"도민들이 이제는 열린 가슴으로 당시의 생생한 증언이나 건의나 피해신고를 해줌으로써 이 사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않겠느냐."
피해신고 첫날부터
4·3 유족들이 도의회로 찾아왔습니다.
읍면동별로 조사요원 17명을 보내
현장 접수도 진행했습니다.
제주도의회에 6년 동안 접수된
4·3 피해신고서는 만 3천968장.
지역별로 피해자들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분석작업도 진행했습니다.
정부와 국회가
4·3 진상규명에 나서지 않았던 시절
짐작하기만 했던
희생자의 규모를 처음으로 밝힌
제주도의회 4.3 피해조사보고서는
이렇게 만들어졌습니다
◀ INT ▶
강덕환 / 당시 제주도의회 4·3특위 조사요원
"희생자의 유족이라고 몰려드는게 물밀듯 같았습니다. 저 진짜 출근을 하는데 9시까지 출근하는게 아니고 그 이전에 출근해서 문을 열고 주민들이 시외버스 첫차를 타고 신고하러올 정도였습니다."
결국, 도의회의 청원과
도민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4·3 특별법은 1999년 국회를
통과했습니다.
특별법 공포 전날
대통령은 제주도민들을 초청해
역사적인 순간을 기념하는
서명식을 열었습니다.
◀ INT ▶
김대중 / 당시 대통령 (2000년 1월 11일)
"4·3 사건의 진상과 명예를 회복시키는 문제, 여기에는 수많은 희생자와 유가족들과 그 친지들의 한이 서려있고…"
4.3 피해신고서 만 3천 968장은
지금 4·3 평화재단 수장고 안에
보관되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유네스코에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신청한
4.3 기록물 만 4천 673건의 95%는
도민들이 직접 쓴 4.3 피해신고서입니다.
안타까운 희생자들의 사연을 담은채
치열했던 진상규명운동을 증언하는
기록물로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을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