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는 내년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여러 사회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종합적으로 대응할 중심 조직이 없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홍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제주 인구 67만 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은 12만 6천여 명.
[ CG ]
2015년 13.8%이던 고령화율은
10년 새 5% 넘게 훌쩍 뛰어
내년에는 20%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가속화되는 인구 고령화에
고독사와 치매 노인 실종이나 사망 등
여러가지 문제가 늘면서
제주 사회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습니다.
제주도의회 저출생·고령화대책 특별위원회가
예산 6천여만 원을 들여 기관 2곳에 맡겨
실시한 연구용역에서는
중심적 대응 조직 부재가 중점 과제로
꼽혔습니다.
저출생과 고령화 문제 모두
단순한 복지에 국한되지 않고
주택과 노동, 사회안전 등 전반에 걸치는데
이에 대응하는 행정은 여전히
쪼개지고 나눠져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각 부처별로 흩어진 정책은
연계성과 실행력이 떨어지고,
최근 제주도가 기획조정실에 신설한
인구정책팀도 규모나 기능면에서
정책을 총괄하기에는 부족하다고 지적했습니다.
◀ SYNC ▶
김홍철/사회복지학 박사(사단법인 가치잇다)
한꺼번에 조정하기에 인력적이나 기능 역할적인 부분이 아쉬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조직을 강화해서 인구정책 차원에서 저출생과 고령화에 대응해야하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급증하는 고령 인구에 대비해서도
정책 추진의 중심 조직을 신설하고,
고령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 SYNC ▶김재희/제주연구원 고령사회연구센터장
건강하고 활기찬 노인 세대들이 많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노인들은 수동적이고 사회적으로 부담이 되는 존재다라는 인식들이 만연해있고 그런 차원에서 노인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을 좀 더 확대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육아 지원과 연계한 노인 소득 확대를 위해
조부모 돌봄수당 지원 조례를 제정하고,
고령 세대에 접어들 중장년층의
노후 지원을 위한 미래연금을 조성하는
방안 등이 제안됐습니다.
MBC뉴스 홍수현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