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뉴스 후] 고양이 도서관 '난항'

이소현 기자 입력 2025-05-06 20:52:09 수정 2025-05-06 20:52:09 조회수 1

◀ 앵 커 ▶

2년 전 마라도에서

천연기념물인 뿔쇠오리를 위협한다며

길고양이 수십 마리가 포획돼

임시보호시설에서 지내고 있는데요.

새 보금자리 공사가 추진 중이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여전히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흙을 다지고,

콘크리트로 바닥 기초공사가 진행 중인

공사현장.

 마라도에서 강제 이주된

길고양이들의 새 보금자리,

'고양이 도서관' 공사 현장입니다.

 990여 제곱미터 부지에

보호실과 도서관, 야외 쉼터 등이 갖춰질

예정입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첫 삽을 뜬 후

공사는 계속해서 늦춰지고 있습니다.

◀ st-up ▶

"현재 공사 진행률은 25%로

애초 계획보다 석 달 정도 늦어져

공사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농림부 보조 사업에 선정돼

3억 6천만 원을 지원받기는 했지만

건축 자재비 상승과 울타리 설치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 예산이 부족해졌기

때문입니다.

 임시보호 시설에서 쫓겨날 우려도 제기됩니다.

 동물보호단체들은

유네스코 본부의 제주 세계유산 점검이

있어 보호시설을 철거해야 하는 입장을

제주도에서 여러 차례 전해왔다는 입장입니다.

◀ INT ▶ 김란영 / 제주동물권연구소장

"마라도 고양이는 상반기에는 나와야 된다고 저희가 전달받은 부분이 있어서 공사가 지연되다 보니까 두 달만 지나면 상반기가 지나잖아요. 조바심을 가질 수밖에 없죠."

 이에대해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는

전임자들이 불명확한 내용을 전달한 것 같다며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CG ]

올해 유네스코 본부의 점검 일정은 없으며,

고양이 도서관이 완공될 때까지

임시보호시설에 머물러 있어도 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임시보호시설이 유지된다 해도

남은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예산을 지원한 농림부에서

결산을 이유로 무조건 6월까지는 공사를 마무리해야 한다고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마라도 길고양이가

섬 밖으로 나온 지 어느덧 2년.

 45마리 가운데 임시보호시설에

남아있는 24마리는 여전히 불안한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소현
이소현 pine748@daum.net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

추천뉴스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