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체육계 비리, 무관심 속 방치

박주연 기자 입력 2025-05-15 19:46:23 수정 2025-05-15 19:46:23 조회수 0

◀ 앵 커 ▶

 이번 서귀포시의 한 체육단체 회장의

성추행 의혹은 물론 지난해 제주시 체육회장의

직장내 갑질 등 체육계 비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체육계에 대한 신뢰를 뒤흔드는 일이

계속 반복되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박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직원에게 가족이 운영하는

꽃집 배달일을 시키고,

주말 경조사에 직원을 동원하는 등

직장내 괴롭힘이 인정돼 물러났던

이병철 전 제주시체육회장.

 서귀포시체육회 한 종목 협회장은

여직원 성추행 혐의로 경찰 수사중에

부당 해고 의혹까지 받고 있습니다.

---

 체육회장 비리가 잇따르는

이유 중 하나로는 간선제라는 체육회의

특수한 선출 구조가 꼽힙니다.

 종목단체 회장들이나 클럽 대표들이

회장을 선출하는 구조다보니 검증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지는 권한은 막강합니다.

 사업계획과 예산, 사무국 운영에 대해

심의 의결권을 갖는 이사는 물론

징계 권한을 갖고 있는 스포츠공정위원회

위원도 마음대로 선임할 수 있습니다.

 형식적으로는 선출직이다 보니

해임 절차도 까다롭습니다.

 이때문에 비리와 인권 침해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조사할

제3의 기관인 스포츠윤리센터가

필요하다는 지적은 수년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는 제주도도

잇따르는 사건에 감독기관 설치를

추진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SYN▶ 김양보 제주도 문화체육교육국장 (지난해 2월 26일)

"(체육인) 인권 관련해서 챙겨나갈 거 아닙니까? 그렇기 때문에 스포츠윤리센터 이 부분을 저희가 적극적으로 유치하겠습니다."

 하지만 약속과 달리

제주도는 예산 편성은 커녕

구체적인 계획 조차도 세우지 않고 있습니다.

◀INT▶ 제주도 관계자 (음성변조)

"작년에도 (문화체육관광부에) 몇 번 갔다 왔었는데 아직 좀 미온적이라서 계속적으로 우리가 협의해 나가야 될 상황이고…"

 다른 지자체들의 대응은

제주도와 확연히 다릅니다.

 경기도는 체육계 비리와 인권침해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조사를 위해

지난 2천22년 전국 최초로

스포츠 인권센터를

자체 예산으로 만들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 강원과 광주, 경남 등 5곳도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윤리센터 지역사무소를 유치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체육계 비리가 잇따르는데도

제주도가 손을 놓은채 방치하면서

체육계에 대한 신뢰도 바닥을 모른채

추락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박주연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박주연
박주연 jyp@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