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최근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사기가 등장하고 있는데요.
쇼핑몰에서
'좋아요'를 누르는 부업이라고 속인 뒤,
입금을 유도하는 사기가
제주에서도 잇따르고 있어
경찰이 수사에 나섰습니다.
이따끔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 CG ]
"임시 파트 타임 채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부업을 광고하는 문자인데,
참여하겠다고 하면
텔레그램 방으로 데려갑니다.
단체 채팅방 관리자는
백화점 상품을 홍보하는 일이라며,
상품에 좋아요를 누르고
캡처한 사진을 보내면 건당 3천원씩 줬습니다.
◀ INT ▶ 사기 피해자
"건당 얼마씩 제 통장으로 돈이 계속 들어왔습니다, 계속. 주기적으로 들어오니 아 정말 내가 광고에 참여하면 수익이 내 통장으로 정말 들어오는구나라는 확신이 섰기 때문에."
본격적인 사기는 이때부터 시작됐습니다.
정회원이 되면
'좋아요' 한 건당 9천 원을 준다며
정회원이 되기 위한
환급 행사 참여를 유도합니다.
정해진 계좌로 돈을 보내면
실제로 수익금을 더해 돌려줘
금액은 점점 커졌고,
7천700만 원을 입금하자
출금 오류가 발생했다며
돈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3일 동안 입금한 돈은
1억 2천700만 원에 이릅니다.
◀ INT ▶사기 피해자
"중간에 포기하면 지금까지 들어간 돈은 주지 못한다고 얘기하니 어쩔 수 없이 끌려 들어가게 됐고, 그 방에 같이 있던 사람들도 돈 받았다고 스샷(화면갈무리)을 찍어서 보내니까 정말 속을 수밖에 없겠더라고요."
부업 일당을 주며 믿음을 얻은 뒤
'팀 미션'이란 이름으로 입금을 유도해
큰 돈을 먹고 사라지는
신종 사기 유형입니다.
문제는 보이스피싱과 달리
계좌를 바로 동결할 수 없어
사기 사실을 알아 채도
피해를 막을 수 없다는 점입니다.
[ 리니어 CG ]
통신사기피해환급법에서
물품이나 용역 공급의 대가로
입금된 금액에 대해서는
지급정지를 제외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 INT ▶ 김정훈/ 변호사
"사기범들은 초기에 소액을 지급해서 실제 용역 거래가 있다는 그 외관은 만들고 이를 통해서 통신사기피해환급법상 계좌 동결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사기가 범해지고 있습니다."
사건을 접수한 제주 경찰은
범행에 사용된 계좌를 확인하기 위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했습니다.
서울에서는
비슷한 유형의 '팀미션' 사기로
300여 명에게 88억 원을 가로챈
일당 54명이 붙잡히는 등
전국적인 피해가 잇따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MBC뉴스 이따끔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