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최근 한 달 사이에
환경자원순환센터 쓰레기 반입이
두 번이나 제한되면서
쓰레기 처리난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동복리 주민들은
마을지원사업 이행 요구와
쓰레기 반입 검사 등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이유를 내세웠는데,
진짜 갈등의 원인은
위탁사업 운영비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기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노란색 차량에서
재활용 쓰레기가 쏟아져 나옵니다.
플라스틱과 고철, 캔 등의
다양한 쓰레기가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동하는 동안
선별작업이 이뤄집니다.
제주도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광역생활자원회수센터입니다.
지난달부터 동복리 주민들이
위탁 운영할 예정이었지만
제주도와 협의가 늦어지면서
오는 9월로 연기됐습니다.
협의가 늦어진 건
동복리 주민들의 요구와
제주도의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기 때문.
[ CG ]
현재 회수센터의
연간 운영비는 100억 원인데,
동복리는 위탁 운영시
연간 125억 원 이상의 위탁운영비와
직원 11명 추가 채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 연간 30억 원이 넘는
재활용품 판매대금의 일부를
운영비로 쓰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용역 결과
인력은 4명 증원이 적당하고,
재활용품 판매대금을 운영비로 쓰는 건
회계원칙 상 세외수입이어서
불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동복리는
위탁 운영비와 상관없다는 입장이고,
제주도는 정확한 이유를 밝힐 수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 SYNC ▶
환경자원순환센터 인근 마을 관계자(음성변조)
"동복리에서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는 거예요. (제주도 답변이) 미비하게 자기들 마음에 안 들게 온 것 같아 가지고 핑계 삼아서 그렇게 하는 것 같아요."
[ CG ]
환경자원순환센터 시설 건립과 운영을 위해
제주도가 지금까지 동복리에 지원한 예산은
587억 원.
주민편익시설 설치와
국내외 선진지 견학 등에 사용됐고,
종량제 봉투 판매액의 10%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복리 마을 주민들이
마을 이익을 위한
추가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해
언제든지 쓰레기 반입을
막을 수 있는 상황.
도민 불편을 키우는 집단행동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MBC뉴스 김항섭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