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시 직원의
쓰레기 종량제 봉투 대금 횡령 사건은
현금 수납 제도의 헛점을 노려 이뤄졌는데요.
제주도는 새로운 대책으로
현금 수납제도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는데
취재결과, 서귀포시는 이미 5년 전에
현금 수납을 폐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왜 제주시만 유지했는지,
이유는 설명하지 못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제주도에서 지난해 판매된
쓰레기 종량제 봉투는 2천600만 장.
제주시에서 120억 원어치가,
서귀포시에서 43억 원어치가 판매됐습니다.
이 가운데 이번 횡령 사건의 대상이 된
현금 수납건만 파악해봤습니다.
[C.G] 제주시는 전체 판매 대금의 10% 가량인
12억 원 정도가 현금으로 처리됐습니다.
그런데 서귀포시는 현금 수납이 0원입니다.
이미 5년 전에 현금 수납 제도를 폐지했기
떄문입니다. [C.G]
같은 제주 지역 안에서 왜 이런 차이가 나는지권한을 행정시에 위임한 제주도에 물었습니다.
◀ INT ▶ 정근식 제주도 자원순환과장
"글쎄요. 제가 확인한 바로는 어떤 시스템을 어떻게 운영하고 있느냐에 대해서는 행정시에서 조금씩 차이는 있습니다. 그래서 어느 쪽에서 먼저 접근했고 어느 쪽에서는 좀 늦게 접근하는 이런 차이인 것 같습니다. 그 부분 잘 모르겠어요."
제주도는
이미 서귀포시가 시행하고 있는 제도를
사건이 보도되자
마치 새로운 대안처럼 내놓은 겁니다.
비슷한 사례가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
이미 10년 전, 울산광역시에서 직원 2명이
종량제 봉투 대금 1억7천 만원을
비슷한 수법으로 뺴돌렸다
적발된 사례도 있습니다.
당시 울산시는 현금 수납 제도를 폐지하고
가상계좌 입금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정확한 횡령 금액을
추산하기 조차 어렵다는 점입니다.
취재결과, 해당 직원이 근무한 8년 중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 동안은
누가 현금 거래를 하고 취소했는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러나 시민들에게 사과한다며
고개를 숙였던 제주시장은
이같은 사실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 SYNC ▶김완근 제주시장
"<담당과에서 조사된 것이 2021년부터 25년까지라고 얘기를 하는데 18년부터 20년까지는 비어 있다며 아직까지 조사가 안 됐다라고 이야기를 해 하거든요?>
"2018부터…"
(담당 과장)"18년부터 20년까지는 지금 그거는 저희 취소건은 확인을 못했습니다."
제주시는 MBC의 보도 이후에서야
헤딩 직원에게 출근정지 명령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그동안 연차 휴가를 사용했던 해당 직원은 제주시와 연락이 끊긴 상태라고 밝혔습니다.
MBC 뉴스 권혁태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