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시 직원의
종량제 봉투 대금 횡령 파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횡령 사건으로
혐오시설인 광역 폐기물 처리장
주변 주민들에게 지원해야 할
기금도 사라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현재까지 추정되는 종량제 봉투 대금 횡령액은
6억 7천900만 원,
1억 4천만원인 제주도지사 연봉 5년치,
9급 공무원으로 따지면
22년치 가까이가 사라진겁니다.
파장은 광역폐기물 처리장까지 이어집니다.
MBC가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확인한
광역폐기물 처리장 주변 주민을 위한
지원 내역입니다.
[C.G] 종량제 봉투 판매액의 10%를
혐오시설을 받아들인 주민들을 위해
사용하도록 되어있습니다.[C.G]
당장 지역주민들은
그동안의 지원금액을 믿을수 없다며
주민협의체 회의를 열고
제주시에 대책마련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제주시의 황당한 업무처리도
추가로 확인됐습니다.
[C.G] 그동안 종량제 봉투 배송을 갔던
해당 직원이 현금을 받고
카카오톡으로 취소됐다는
허위 문자를 보내면 사무실에서
근무하던 직원이 확인 없이
그대로 받아적기만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C.G]
◀ INT ▶ 김완근 제주시장
<일반 회사에서도, 사기업에서도 재고관리를 하는데 제주시에서 그게 확인이 안됐다라는게 납득이 안가는 부분인데요?>
"저도 이 내용을 접할 때 이해를 못했습니다."
[C.G] 제주도의 청소예산 재정자립도는
지난 2017년 종량제 봉투값을
40%나 인상했지만 20년 넘게 30% 초반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C.G]
부족한 돈은 결국 예산으로 메꾸는 처지에
시민들이 낸 봉투값마저 줄줄 센겁니다.
◀ INT ▶현우택/제주시 영평동
"진짜 옛말이 하나도 다를 게 없구나.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고 금액이 쌓이다 보니까 그런 게 있지만 솔직히 저희가 이러려고 세금을 내는 건 아니기 때문에 좀 많이 어이가 없고 많이 실망스럽기도 합니다."
◀ INT ▶강승옥/제주시 이도동
"기분이 안 좋죠. 공무원들도 저럴 수가 있는가, 누구를 믿어야하나…"
주차장과 공영 유료관광지 등 현금을
취급하는 행정 업무 천체에 대한 신뢰도
함께 떨어지고 있습니다.
◀ INT ▶홍영철/제주참여환경연대 대표
"재발 방지는 이런 소지가 있는 것들 업무에 대해서 전수조사를 하고 그것과 더불어서 지금 나타난 문제, 이것들의 관리 감독 책임이 있는 공무원에 대한 징계가 이루어져야 된다 하는 생각입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제주시는
카카오톡 취소 내역 등
정확한 자료조차 경찰에 넘기지 않아
어떤 법을 적용할지도 결정되지 못했습니다.
◀ st-up ▶
이번 사건이 발생한 이후 제주도와 제주시는
꼬리 자르기식 조사와
돌려막기식 대책만 내놓고 있습니다.
행정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문제인 만큼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권혁태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