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남아메리카에서 들어온 외래종인 '뉴트리아'가 제주에서도 야생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름과 습지 생태계 교란이 우려됩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서귀포시 표선면 백약이오름 부근에 있는 한 웅덩이에 낯선 동물이 눈에 띕니다. 가까이 다가가자, 인기척을 느꼈는지 한 마리가 굴 속에서 나와 반대편으로 달아납니다. 쥐처럼 생겼지만 길이가 50cm나 되고, 무게도 5~9kg 정도 나가는 늪너구리, '뉴트리아'입니다. 웅덩이 주변엔 뉴트리아가 여기저기 굴을 파 곳곳이 파헤쳐졌고, 배설물도 널려 있습니다. ◀INT▶ "한 마리가 습지쪽으로 들어왔고, 한 마리는 멀리서 도망쳤고, 또 한 마리는 굴에 있다가 나와서 보이더라구요." 남미가 원산지인 뉴트리아는 지난 천985년 모피 공급을 위해 국내에 들여왔으나, 최근 우리를 빠져나가 야생에서 자라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임신기간이 2,3개월밖에 안 되고 한 번에 5~10마리의 새끼를 낳는데다, 4개월 정도면 다 크기 때문에 번식이 매우 빠릅니다. 특히 어린 물고기와 곤충은 물론 식물의 줄기와 뿌리까지 닥치는대로 먹어치워 주변 식물과 농작물 피해가 우려됩니다. ◀INT▶ "식물의 상부까지 다 먹어버려요. 그러다보면 주변 자생식물을 다 먹어치워서 결국 다른 제주 토착 동물의 먹이 체계에 교란이 오는거죠." (s/u) "뉴트리아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생태계 교란을 막기 위한 철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