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도내 풍력발전은 대부분 다른 지방 대기업 소유입니다. 이 때문에 공공자원인 바람을 이용해 대기업들만 수익을 챙긴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환경선진국들은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독일의 사례를 송원일 기자가 현지 취재했습니다. ◀END▶ ◀VCR▶ 넓은 평원 위에 30대가 넘는 풍력발전기가 힘차게 돌아갑니다. 발전용량 67메가와트로 연간 천200만 유로, 180억 원의 발전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풍력단지의 주인은 마을 주민들입니다. 풍력회사를 세우고 함께 모은 돈과 자치단체 예산으로 투자비의 40%를 마련한 뒤, 60%는 은행에서 대출받았습니다. 대출조건이 까다로운 은행이 장기저리로 돈을 빌려준 이유는 뭘까? 독일 정부가 1991년부터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높은 값에 사주는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시행하면서 풍력발전은 우량 투자 대상이 됐기 때문입니다. ◀INT▶랄프 포이트/드루이베르그 풍력회사 대표 "재생에너지법을 통해 20년간 보장된 보상을 받습니다. 풍력발전시설로 전기를 생산해 10년이나 12년 후에는 투자비용을 회수해 투자한 금액을 되돌려 받습니다." (CG) 발전차액지원제도 때문에 독일의 풍력발전량은 1990년 71기가와트시에서 2011년에는 4만 8천 기가와트시로 650배 늘었습니다. 마을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면서 반대나 갈등은 크게 줄었고 풍력발전시설은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INT▶베른트 크누프/주민 "모든 지역이 금전적인 이득을 얻었고 많은 대상들이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주민들의 반대는 더 이상 없었고 사라졌습니다." (S/U) 독일은 오래 전부터 발전차액지원제도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정책 때문에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재생에너지시설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강국의 자리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송원일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보도국장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