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4.3기획2-유해발굴 중단

권혁태 기자 입력 2010-03-30 00:00:00 수정 2010-03-30 00:00:00 조회수 0

◀ANC▶ 4.3특별법 제정 이후 가장 큰 진전 가운데 하나는 유해발굴입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제주를 비롯한 전국의 유해발굴 사업이 사실상 중단돼 과거사 진실규명이 멈춰섰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전라남도 여수시에 사는 김천우 씨는 62년 전, 여순 사건때 큰 형을 잃었습니다. 정식 재판도 없이 희생당한 형은 지금의 여수시 국동에 묻혔지만 아직까지 유해 발굴이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INT▶(김천우) "여기와서 이런 얘기를 하는게 희망의 끈을 잡겠다는 것도 아니고 명예회복이라도..." 여순사건 당시 군인들이 민간인들을 재판 없이 살해한 여수시 만성리 굴. 정부가 유해발굴을 하겠다고 예고까지 했으나 지금껏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유족들의 상처는 깊어지고 있습니다. (s/u) 여순 사건이 일어난지 60년이 넘었지만 진실규명이 되지 않으면서 여순사건 위령비 뒷편의 비문은 말 줄임표로 대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INT▶(여수시) "희생이나 학살이냐가 문제가 됐는데 아직 진실위 진상규명이 안됐기 때문에..." 지난 2천6년, 정부 조사에서 민간인 학살 사건 피해자들이 매장됐을 것으로 추정된 지역은 168곳. 정부는 2천7년 39곳을 우선 발굴지로 선정했으나, 지금까지 발굴된 곳은 13곳에 불과합니다. 올해부터는 아예 예산이 끊겼습니다. 제주4.3은 물론 전국의 유해발굴 사업이 중단되면서 조금씩 드러나던 민간인 학살 사건의 진실은 또다시 묻히고 있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권혁태
권혁태 frokp@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