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지역 도심이 평면적 확산 개발에 치중되면서 다른 한쪽에선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목소리가 모아졌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한라산 아래 끝없이 펼쳐진 제주 도심. 동서 방향으로 복잡한 건축물들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면서 오름들은 고립된 섬처럼 남았습니다. 이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반성의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국가건축위원회가 마련한 포럼에서는 그동안 획일화됐던 개발 정책에 대한 대안이 제시됐습니다. 새로운 택지가 개발되면 낙후된 지역은 공동화 현상을 맞는 악순환을 끊어야하는게 핵심. 그러기 위해선 아파트 중심의 도시 재생사업에서 벗어나 공간 설계에서부터 지역 사람과 지역 문화에 기반해야한다는 지적입니다. ◀INT▶(국가건축위) "인구감소와 가구변화로 재건축 중심의 재생사업은 효과가 없습니다. 이제 커뮤니티 중심의재생사업이 필요합니다." 대단위 택지개발과 자동차 이동 중심의 건축 정책에 대한 제동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낙후된 기존 지역에 제주의 특성을 살린 새로운 주거형태를 시도할 필요성도 제기됐습니다. ◀INT▶(김태일 교수) "제주 다움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계획단계에서부터 반영되어야합니다. 제주의 자연과 결합된 형태의 개발이 필요." 제한된 면적에서 양적 팽창만을 거듭하고 있는 제주의 도심. 이제 마을과 공동체를 중심으로하는 건축과 도시계획이 필요해 보입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