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라디오제주시대

라디오제주시대

18시 05분

인터뷰 전문보기 (2019년3월28일~ 2023년7월10일)

4월 10일(금) [총선대담 2차] 서귀포시 선거구/ 미래통합당 강경필 후보

■ 방송 : 제주MBC 라디오 <라디오제주시대>
제주시 FM 97.9 서귀포시 FM 97.1 서부지역 FM 106.5 (18:05~19:00)
■ 진행 : 윤상범 아나운서
■ 일시 : 2020년 4월 10일(금)
■ 대담 : 강경필 후보

◇ 인터뷰 전문보기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제주MBC에 있습니다. 전문 게재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할 경우, 채널명과 정확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윤상범> 이어서 바로 서귀포시 선거구의 기호2번 미래통합당 강경필 후보를 만나보도록 하죠. 지금 전화 연결 돼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강경필> 안녕하십니까? 강경필 후보입니다.

●윤> 예. 후보님은 오늘 사전투표 하셨는지요?

○강> 예. 했습니다.

●윤> 예. 자, 이제 정말 선거가 정말 코앞으로 다가와서요. 이번 선거 운동하시면서 좀 어렵진 않으십니까?

○강> 우리 코로나19 때문에 종전과는 좀 많이 달라진 거 같습니다.

●윤> 예. 오늘 후보님의 공약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좀 최대한 많이 다뤄 보려고 하는데요. 일단 지역구 내에서 시급하게 해결해야 될 현안 과제들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강> 저희 서귀포뿐만 아니라 제주도의 경우도 마찬가진데요. 우선 4.3 특별법 개정안이 빨리 처리가 돼야 되는데 그 민주당 의원이 발의를 한 후에 거의 2년 이상 방치하다시피 했습니다. 여야 합의가 문제가 아니라 그전에 정부 측에서 상당한 난색을 표명하는데 정부 측과 의견 조율이 전혀 안된 상태입니다. 그래서 제가 예상하기로는 20대 국회에서 처리하기는 어려운 것 같고 21대 국회에서 재발의를 해서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윤> 예. 재발의를 직접하시겠다는 말씀이신건가요?

○강> 네. 제가 대표 발의를 하던지 아니면은 발의 의원 명단에 이름을 올려야겠지요.

●윤> 예. 알겠습니다. 가장 시급한 것으로 4.3 특별법 개정에 대해서 얘기를 해주셨구요. 공약집을 보다보니까 이제 제주형 특성화 전문대학 유치 공약이 있더라고요. 일단 제주형 특성화라는 게 어떤 건지 궁금한데요?

○강> 서귀포.

●윤> 아, 서귀포 특화형인가요?

○강> 예. 서귀포 특화형입니다. 무슨 얘긴고 하면은 지금 서귀포에 우선 고등학교까지만 있습니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가 없습니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가 없고요. 그런데 지금 일반적인 대학, 통상적인 대학을 서귀포에 설립하겠다고 한다면은 그게 국비든 아니면은 사립이든 간에 그게 현실적으로 굉장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는 지금 고용노동부에 고용지원 자금이라는 예산이 있습니다. 그 예산으로 지금 전국에 한국폴리텍대학이라고 해서 39개 정도의 캠퍼스가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시에도 폴리텍 대학 캠퍼스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서귀포에도 그 캠퍼스 설치가 가능할 것 같은데 그냥 다른 캠퍼스처럼 기술과 위주의 학교가 아니라 우리 서귀포에 필요한 실무 인력, 주로 관광 산업에 필요한 실무인력이겠죠. 해양레저라든가 아니면 선박수리, 골프, 마을 산업, 이런 쪽의 실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그런 형태로 설립을 한다면은 우선 학비도 저렴할 것이고 그리고 그 과정을 마치면은 바로 취업이 가능한 그런 실무 인력을 양성할 수 있겠다 싶어서 그런 형태의 학교설립을 추진하려고 합니다.

●윤> 후보님 이거는 제주 캠퍼스를 지금 가져간다는 것이 아니라 서귀포에 또 하나의 캠퍼스를 설립하겠다는 말씀이신 거죠?

○강> 예. 그렇습니다.

●윤> 자, 그리고 공약 중에 감귤과 마늘 등의 해상 운송비 지원을 위해서 총력을 기울이겠다. 강조를 하셨고 상대방 후보에 대해서도 이 부분을 비판하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마는 어떻게 하시겠다는 건지요?

○강> 지금 해상 운송비 문제의 경우에는 제가 보기에 근거 법률의 미비점이 좀 있습니다. 그래서 그 근거 법률에 우리 제주도를 해상운송비 지원 대상이 된다고 명확히 포함시킨 후에 그리고 도서 지역으로 제주도를 묶어서는 안 되구요. 도서 지역으로 묶어서는 안 되고 제주도 해상 운송비가 우리 전국 해상 운송비의 한 92%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주도 해상 운송비만을 별도로 해서 이게 제주지역의 특성을 잘 설명하고 예산부처를 설득해야 이게 운송비 지원이 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합니다.

●윤> 지금은 이제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이 있는데 이걸 이제 개정을 하셔서 제주도는 또 따로 분리를 하시겠다는 말씀이시네요?

○강> 아니 제주도를 거기에 추가해 넣구요.

●윤> 아, 추가를 해 넣구요.

○강> 예.

●윤> 알겠습니다.

○강> 그렇기 때문에 지금처럼 제주도를 도서 지역에 포함시켜서 추진을 하는 거는 이 법률 해석상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윤> 예. 알겠습니다. 자, 그리고 여성 농어업인의 출산기간 동안 최저임금 지급을 추진하겠다, 이런 공약도 내걸으셨네요.

○강> 예. 그렇습니다. 지금 전국적으로 출산률이 대단히 낮습니다. 그래서 엄청난 예산을 지금 투입하고 있는데도 나아질 기미를 안보이고 있거든요. 그런데 우리 제주 지역, 서귀포 지역의 경우에는 농업의 비중이 굉장히 높습니다. 그래서 농업 인구가 또 지속적으로 유입이 돼야 되는데 이런 정도의 인센티브는 줘야 젊은 여성 농어업인들이 유입될 것이고 그 젊은 여성 농업인들이, 농어업인이죠. 농어업인들이 출산에 대한 어떤 의욕이 생겨야 인구도 증가하고 또 이 분들이 농어업인으로서 약간의 만족도 느낄 수 있고 그럴 거라고 생각합니다.

●윤> 예. 그런 취지에서 이번 공약을 내셨구요. 하나 더 보면은 이제 제주대학교 제 2부속병원 설립에 대한 공약도 하신 걸로 나와 있네요?

○강> 예.

●윤> 이 부분은 서귀포 지역의 낙후된 의료와 관련된 부분이겠죠?

○강> 네. 그래서 제가 현재 궁여지책으로 지금 위탁 경영도 여의치 않고

●윤> 서귀포 의료원이요?

○강> 예. 서귀포 의료원은 제주대학병원 위탁 경영도 여의치 않고 서울에 있는 대형 사립병원도 유치하는 게 적당치 않고 해서 궁여지책으로 일단 서귀포 의료원을 제주대학 제2부속 병원으로 전환시키면 의료인력 부족, 우선 그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을까 해서 일단은 그런 방안을 제시한 거구요. 이제 나중에 우선 여러 부처가 관련돼 있기 때문에 그 부처와 협의를 하면서 만일에 더 좋은 해결 방안이 있다면은 그쪽을 택하는데 우선은 지금 현재 상황에서는 그게 대안이 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윤> 예. 후보님 이제 생각은 지금 서귀포 의료원에 하나를 더해서 제2부속 병원을 설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귀포 의료원을 제주대학교 제2부속 병원으로 이제 전환을 하는 쪽이네요?

○강> 예. 왜냐하면 신설을 하려면 또 어마어마한 예산이 들어가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지금 기본적인 설비 하에 이거를 관리 전환, 의료 인력 보강을 하겠다는 그런 취지입니다.

●윤> 그렇군요. 자, 마지막 질문 드리고 이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내가 만약에 국회의원이 된다, 선거가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마는 가장 먼저 좀 발의하고 싶은 법은 어떤 법안이신지요?

○강> 우선은 아무래도 4.3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해야겠죠.

●윤> 4.3 특별법 개정안, 그러면 아까 얘기하셔서, 그럼 그 다음엔 혹시 또 어떤 걸 생각하고 계십니까?

○강> 그 다음에는 우리 농민들이 지금 택배비 부담이 굉장히 과중합니다. 그 택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온라인 유통공사를 설립하는 그 법안을, 그 자체가 어떤 단독 법안은 아니겠지만은 그 관련 법안을 제출하고 싶습니다.

●윤> 온라인 농산물유통공사 설립과 관련된 법안이 되겠군요. 예. 알겠습니다. 자, 이제 정말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요. 건강관리 잘 하시구요. 선거 운동도 잘 하시고 저희는 또 다음 기회에 뵙도록 하죠. 오늘 고맙습니다.

○강> 예. 감사합니다.

●윤> 예. 미래통합당의 강경필 후보까지 만나 봤습니다.

◇ 인터뷰 전문보기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제주MBC에 있습니다. 전문 게재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할 경우, 채널명과 정확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