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라디오제주시대

라디오제주시대

18시 05분

인터뷰 전문보기 (2019년3월28일~ 2023년7월10일)

5월 4일(월) 제8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논픽션 부문> 당선 수상자를 만나봅니다(김여정 작가)

■ 방송 : 제주MBC 라디오 <라디오제주시대>
제주시 FM 97.9 서귀포시 FM 97.1 서부지역 FM 106.5 (18:05~19:00)
■ 진행 : 윤상범 아나운서
■ 일시 : 2020년 5월 4일(월)
■ 대담 : 김여정 작가

◇ 인터뷰 전문보기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제주MBC에 있습니다. 전문 게재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할 경우, 채널명과 정확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윤> 이어서 4.3 평화 문학상 논픽션 부문의 수상자입니다. 김여정 작가와 이야기를 나눠보도록 하죠. 지금 전화 연결 돼 있는데요. 안녕하십니까?

○김여정> 안녕하세요.

●윤> 예. 먼저 당선 축하드립니다. 소감 한 말씀 여쭤볼까요?

○김> 저는 제가 될 거라고 생각을 안 해서 사실 보이스피싱인 줄 알았어요. 전에 전화 오셔가지고.

●윤> 아, 보이스피싱요?

○김> 네. 4.3평화재단에서 보이스피싱 하신 줄 알았어요. 제가 전문적으로 한 번도 훈련이 안된 사람이라 정말 보이스피싱인 줄 알고 정말 2, 3번 전화를 안 받았어요.

●윤> 만약에 진짜 보이스피싱이었으면은 정말 연구를 많이 한 거 같네요. 4.3 평화문학상까지 연관을 시킨다면은, 그래도 정말 당선 전화를 받으시는 순간 굉장히 기쁘셨겠어요?

○김> 살짝 믿지 못했어요. 제가 신문기사 보기 전까지.

●윤> 아니 근데 논픽션 부문이 작년에 신설이 됐고 지난해에는 수상작도 나오지 않았었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수상자로 선정이 되신 거고, 어떤 작품인지 간략하게 좀 소개를 부탁드릴까요?

○김> 저희 보광동 경로당, (서울시) 용산구 보광동에 사시는 경로당 회원들을 인터뷰한 내용이에요. 그래서 1930년부터 40년 사이에 출생하신 분들이구요. 그 다음에 태평양 전쟁을 경험하시고 그 다음에 한국전쟁을 경험하신 분들의 이야기예요. 그래서 주로 한강다리 폭격을 보신 분들이고 피난가서 미군 폭격이나 아니면 교전 중에 살해하는 거나 아니면 월미도에 미군이 상륙했을 때 월미도 폭격이나 이런 거를 경험한 분들이 평생 트라우마를 가지고 어떻게 살아갔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내용입니다.

●윤> 예. 이 설명을 좀 드려야 될 거 같은데 논픽션 부문 아니겠습니까? 즉 사실에 기반한 그런 글을 쓰신 것이고 말씀 들어보니까 우리가 흔히 이제 채록이라고 하는, 직접 사람들을 만나고 그 이야기를 글로 담아내신 거군요.

○김> 네. 그렇습니다.

●윤> 사실에 기반해서.

○김> 네.

●윤> 저는 살짝 작품을 좀 읽어봤는데 박완서 선생님 작품도 좀 얼핏 생각이 나기도 하구요. 그분들의 이야기를 갖다 듣고 풀어내신다는 과정 자체가 그렇게 쉽지는 않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어떻습니까?

○김> 우선은 막걸리를 매일 마셔야 되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특히 전쟁을 경험하신 분들은 4.3 유가족들도 마찬가지지만 자기 이야기를 잘 안하세요. 그러니까 저희 유족들도, 거의 4.3 유족들도 자신의 이야기 안하시잖아요. 그래서 정말 몇 년에 걸쳐서 그냥 매일 술 드시고 이야기 들어드리고 하지 않으면 이야기가 나오지 않았던 거 같아요. 저는 최소한 그분들 하고 2, 3년은 거의 매주 술을 먹었던 거 같아요.

●윤> 예. 어느 순간 마음을 여시니까 그 다음부터는 이야기를 술술 풀어내시던가요?

○김> 네. 막걸리를 많이 마시면 이야기가 나오시더라구요.

●윤> 이게 술과 관련된 글이기도 하네요.

○김> 네. 제가 사실 끝나고 간 수치도 확 올랐었습니다.

●윤> 아니 근데 지금 4.3 얘기를 잠깐 하셨는데 4.3 유족들께서 이야기를 잘 안 풀어내신다는 것도 잘 알고 계시네요.

○김> 네.

●윤> 혹시 그 부분과 관련해서도 글을 쓰신 적이 있습니까?

○김> 제가 원래 사실 4.3을 몰랐는데 2008년에 (제주)올레가 열리자마자, 저는 사실 올레 1구간부터 돌았거든요. 근데 이제 이렇게 돌다보면 할망들을 만나게 되잖아요. 보통은. 그래서 처음에는 그냥 간략하게 들었는데 이게 매년 가서 보다보니까. 저는 올레(축제) 기간 동안 한 해도 빠짐없이 갔거든요. 저는 주로 제가 하는데는 다른 쪽은 잘 모르겠고 북촌이나 이런 쪽은 워낙 유명한 곳이고 저는 주로 성산하고 표선만 왔다 갔다해요. 그래서 지금도 사실 제주 공항에 딱 내리면 저는 바로 표선 갔다가 성산 터진목 가서 인사드리고 저희 할머니들하고 이야기 하는데 주로 4.3 할망들은 거의 이야기 안하시잖아요. 자기 아버지가 어떻게 됐고 이런 이야기를. 그래서 저도 십여 년간 그분들하고 계속 보고 하는데 참 쉽지 않았어요. 이야기를 듣는 거에 대해서요.

●윤> 예. 그러면 생각이 드는 것이 4.3 평화문학상인데 그분들과 관련된 이야기를 채록해서 글을 내셨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도 드는데요?

○김> 작년에 냈는데 떨어지더라구요.

●윤> 아, 작년에 내셨었습니까?

○김> 예. 작년에는 제가 좀 집중해서 낸 게 아니라 4.3이 한 부분이구요. 그러니까 제주 같은 이런 빨갱이로 몰아서 국민을 죽인 나라에 대한 여행기를 썼어요. 4.3이랑 똑같은 사태가 일어났던 발리나 아니면은 대만이나 그 다음에 말레이시아에 대한 여행기를 썼는데 그때는 제 실력이 안돼서 그냥 떨어졌습니다.

●윤> 겸손의 말씀을 하셨습니다만은 지금 말씀을 좀 나누다 보니까 작가님이 쓰시는 4.3과 관련된 글도 꼭 한번 좀 만나봤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김> 제가 사실 문학상에 공모한 게 어떤 문학적인 그것보다는 이런 민간인 학살이라든지 한국전쟁사라든지 아니면은 아시아에 일어나는 다른 학살이야기가 출판할 기회를 가지는 게 거의 전무해요. 왜 그러냐면은 이게 상업성이 없는 책들이잖아요. 그리고 저도 솔직히 어떤 문학적인 훈련이 전혀 안 돼 있었는데 그냥 도전한 게 이거를 안 하면, 사실 저 같은 경우는 저의 할망들 이야기가 나올 수가 없잖아요. 세상에. 그래서 한번 지원을 했던 거예요.

●윤> 예. 자꾸 겸손하게 문학적인 준비가 안 돼 있다는 말씀을 하시는데 제가 읽어봤을 때는 굉장히 준비가 많이 돼 있으신 거 같던데, 그 이력을 보니까요. 국제인권단체나 NGO 활동가로도 일을 하신 걸로 나오더라구요. 어떤 일을 하신 건지 지금은 또 어떤 일을 하고 계신지도 궁금하네요.

○김> 저는 원래 영국에서 앰네스티(비정부기구 국제인권단체) 활동가로 일을 했었고.

●윤> 앰네스티요?

○김> 네. 그 다음에 워낙 오래 전의 일이라. 그 다음에 동남아에서 개발지원 사업으로 저희가 전부 나가 일들을 했습니다. 고아원 짓는 거나 아동 보호하는 그런 일을 주로 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조금 바뀌게 된 거는 우리 성산, 표선 할머니들 덕분에 많은 공부를 했던 거 같아요.

●윤> 그게 어떻게 보면 글을 쓰시게 되는 또 계기가 됐다는 말씀이신 거 같습니다.

○김> 네.

●윤> 첫 번째 글 단락에 보면은 ‘보광동 카페’라는 소제목이 있는데 지금도 그 카페를 운영을 하시는 겁니까?

○김> 제가 장사가 안 돼서 망했습니다.

●윤> 너무 카페보다는 글을 쓰시는데 집중하시느라 그랬던 건 아니구요?

○김> 아니고 할머니들하고 술을 많이 먹어서 집중을 못해서 그냥 적자로 문을 닫았습니다.

●윤> 예. 앞으로도 참 좋은 글들 많이 만나봤으면 좋겠는데 그리고 또 4.3에도 관심이 많으신 걸 보니까 4.3과 관련된 글도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우리 김여정 작가님에게 제주는 어떤 이미지로 다가오시던가요?

○김> 어떤 이미지라는거 보다는 저는 정말 충격 먹었어요. 처음에 표선 같은데 가보잖아요. 지금은 모르겠지만 제주가 너무 망가져 갖고 뭐라고 할 말이 없는데.

●윤> 망가졌다고요?

○김> 예. 성읍 같은데 가서 보면 어떻게 사람이 죽은 곳에다가 어떻게 민속촌을 만들 수 있는지도 저는 솔직히 이해가 안 됐고, 정방폭포에 가서 보면 그 많은 사람들이 떨어져 죽은 곳에 서불 기념관은 있는데 4.3 표지 하나도 없잖아요. 그 다음에 사실 터진목도 요번에 만든 거거든요. 한 4, 5년 전에 만든 거거든요. 그러니까 어떻게 그 많은 사람이 숨진 그 공동묘지 자리에 민속촌을 만들고 관광버스 들어오는 게, 아니 추모의 공간에 대해서 최소한 열어줘야 되지 않았을까. 이런 건데. 전반적으로 지금 현재 제주의 모습은 저는 잔인하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윤> 잔인하다?

○김> 예. 제가 4.3유족인데 저희 할아버님이 만약에 정방폭포에서 죽었는데 거길 어떻게 가요. 그렇잖아요. 최소한 죽은 사람에 대한 추모비라도 하나 있었으면 하는 게 제 생각이에요.

●윤> 예. 사실 우리 제주가 아직 공항에 있는 활주로 밑에 잠들어 계신 분들조차도 아직 발굴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거든요. 어떻게 보면은 너무 잊혀지길 바랬던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그만큼 좀 무심했던 부분이 있었던 거 같기도 하고 말이죠.

○김> 이게 똑같은게 발리 학살이에요. 65년에 거의 4만 명이 죽었거든요. 발리에서. 발리도 똑같아요. 제주처럼. 사람 죽은 곳에 호텔 짓고 사람 죽은 곳에 민속촌 만들고 사람 죽은 곳에 공항 만들어요. 발리 공항도 그렇거든요. 이게 그 사람들하고는 제주보다 물론 20년 뒤의 이야기이긴 하지만 거기는 사실 학살지 발굴을 작년부터 시작할 수 있었거든요. 군부 독재 기간이라서. 근데 똑같은 거예요. 사실 살아있는 사람들이 죽은 사람들에 대한 추모의 공간보다는 살아 있는 사람들이 그 잔인한 상황을 봐야 되잖아요. 제주가 그런 걸 좀 잘해서 솔직히 다른 아시아 지역의 이런 똑같은 제주 같은 것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조금 어떤 의미 있는 장소가 되었으면 좋겠어요.

●윤> 그런 말씀이 이제 글로 많이 나타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라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앞으로 하시려는 일 관련해서 계획이 있으시다면 짧게 한 말씀 부탁드리죠.

○김> 저는 제가 아마 문학적인 글을 쓰기에는 조금 벅차구요. 다른 것보다는 요번에 민주당이 180명 넘게 국회의원이 되셨기 때문에 4.3관련 법안이나 과거사 법안이 꼭 통과되기를 바라구요. 그거를 좀 관련해서 도와드리고 싶어요. 그리고 어찌됐던 유족들 배보상 문제도 처리해야 되는 부분이고, 유족들 죽고 나서 배보상을 해준다는 것도 말이 안 되잖아요. 그 다음에 살아있는 유족이 얼마 되지도 않는데 그 배보상 때문에 과거사 법안을 통과 안시켜주는 것도 너무 잔인한 일이어서 사실 이번 국회에서 과거사 입법안이 통과하는 걸 도와드리고 싶습니다.

●윤> 예. 알겠습니다. 앞으로도 4.3 관련해서 또 제주와 대해서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구요. 관련해서 또 좋은 이야기로 만나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다시 한번 수상 축하드리구요. 저희는 다음 기회에 뵙도록 하죠. 고맙습니다.

○김> 네. 감사합니다.

●윤> 4.3 평화문학상 논픽션 부문에 당선된 김여정 작가와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 인터뷰 전문보기 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제주MBC에 있습니다. 전문 게재나 인터뷰 내용을 인용할 경우, 채널명과 정확한 프로그램명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