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18시)무더위 날씨
제주지방은 북부지역에 이틀째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제주시의 낮 최고기온이 34.5도로 올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제주지방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기류가 계속 유입되면서 당분간 33도를 넘는 고온현상과 열대야가 예상됩니다. 오늘 밤과 내일 중산간 이상의 지역에서는 가끔 비가 오겠고 ...
송원일 2011년 07월 28일 -

김건일 국장 한국방송대상 지역방송인상 수상
제주문화방송 김건일 경영기술국장이 한국방송협회가 주관하는 제38회 한국방송대상 지역방송인상 수상자로 결정됐습니다. 김건일 국장은 제주MBC 시사토론 프로그램인 '시사진단' 진행자로 지난 6.2지방선거 때 선거토론방송을 진행하면서 다양한 토론방식을 활용해 유권자들이 정당의 정강 정책과 후보자별 능력을 판단...
송원일 2011년 07월 28일 -

날씨(18시)
오늘 제주시의 최고기온이 33.1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성산 31.1, 고산 30.8, 서귀포 30도 등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주지방은 당분간 남쪽에서 고온다습한 기류가 유입돼 무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지겠습니다. 산간에 내려졌던 호우주의보는 오후 6시 40분을 기해 해제된 가운데 한라산 진달래밭에 146mm의 강수...
송원일 2011년 07월 26일 -

백록기 도내 4개팀 16강 진출
제19회 백록기 전국고교축구에서 대기고와 서귀포고, 오현고, 제주제일고가 16강에 진출했습니다. 대기고는 어제 경주정보고를 5대0으로 눌렀고, 오현고는 경기 신한고를 맞아 2대1 역전승을 거뒀습니다. 또, 제주제일고도 강세환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경기 현대예능고를 5대2로 눌렀습니다. 한편, 탐라기 전국중학교축구...
송원일 2011년 07월 26일 -

날씨(18시)
오늘 제주시의 최고기온이 33.1도를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성산 31.1, 고산 30.8, 서귀포 30도 등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제주지방은 당분간 남쪽에서 고온다습한 기류가 유입돼 무더위와 열대야가 이어지겠습니다. 산간에 내려졌던 호우주의보는 오후 6시 40분을 기해 해제된 가운데 한라산 진달래밭에 146mm의 강수...
송원일 2011년 07월 26일 -

백록기 도내 4개팀 16강 진출
제19회 백록기 전국고교축구에서 대기고와 서귀포고, 오현고, 제주제일고가 16강에 진출했습니다. 대기고는 어제 경주정보고를 5대0으로 눌렀고, 오현고는 경기 신한고를 맞아 2대1 역전승을 거뒀습니다. 또, 제주제일고도 강세환의 해트트릭에 힘입어 경기 현대예능고를 5대2로 눌렀습니다. 한편, 탐라기 전국중학교축구...
송원일 2011년 07월 26일 -

(18시)무더위 날씨 이어져
오늘 제주지방은 고온다습한 기류가 남쪽에서 유입되면서 제주시의 최고기온이 32.2도, 고산 30.8, 성산 30.5, 서귀포 30.4도를 기록하는 등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밤과 내일 아침에도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습니다. 특히 자외선지수가 서귀포시지역은 10, 제주시지역은 9로 매우 높은 단계를 보였고, ...
송원일 2011년 07월 25일 -

(18시)무더위 날씨 이어져
오늘 제주지방은 고온다습한 기류가 남쪽에서 유입되면서 제주시의 최고기온이 32.2도, 고산 30.8, 성산 30.5, 서귀포 30.4도를 기록하는 등 무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밤과 내일 아침에도 열대야가 나타나는 곳이 많겠습니다. 특히 자외선지수가 서귀포시지역은 10, 제주시지역은 9로 매우 높은 단계를 보였고, ...
송원일 2011년 07월 25일 -

(리포트)해파리떼 발견
◀ANC▶ 오늘 제주도 협재해수욕장에서 피서객이 해파리에 쏘여 응급치료를 받았습니다. 해경은 해수욕을 금지하고 해파리떼 수거에 나섰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오늘 오후 4시쯤 제주시 협재해수욕장에서 물놀이하던 관광객 22살 유 모씨가 해파리에 쏘였습니다. 푸른 빛 몸통에 길이가 10...
송원일 2011년 07월 20일 -

멸종위기 '제주새뱅이' 발견
제주환경운동연합은 해군기지 부지인 강정마을 중덕바닷가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동물인 '제주새뱅이'가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습니다. 민물새우 종류인 제주새뱅이는 제주에만 사는 고유종으로, 해군의 환경영향평가서에는 누락돼 있었다며 환경부에 정밀조사를 요청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송원일 2011년 07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