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체납차량 집중단속
제주시는 이달 중순부터 읍.면과 도서지역별로 자동차세를 상습적으로 체납한 차량에 대한 집중단속을 벌입니다. 이번 단속에는 차량 번호 인식을 통해 체납차량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하는 카메라 장비를 활용해 읍.면과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번호판 영치활동을 벌일 계획입니다. 현재 제주시지역 자동차세 체납차량은 2만...
홍수현 2014년 03월 12일 -

제주시 재난상황실 기능 보강
제주시는 올해 사업비 2억 원을 들여 재난상황 관제시스템 장비를 교체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하천감시 카메라 38대와 월파감시 카메라 15대 등 재난감시용 카메라 60대와 음성과 문자통보시스템을 연계한 재난예보 기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홍수현 2014년 03월 12일 -

공유수면 무단점용 점검
해안지역 공유수면을 무단 점용하는 행위에 대한 단속이 강화됩니다. 서귀포시는 주요 해변 공유수면에 허가를 받지 않고 설치한 양식장 취.배수관 시설과 토사와 자재 등을 불법으로 야적하는 행위를 집중 단속하기로 했습니다. 서귀포시는 경미한 위반사항은 현장에서 시정하도록 하고, 위법행위가 적발될 경우 원상회복...
홍수현 2014년 03월 12일 -

관광숙박시설 사업계획 승인 신청 감소
관광 숙박시설 신축 신청이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제주도는 올들어 관광숙박업 사업계획 승인 신청 건수는 11건에 780실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정부의 관광숙박시설 확충 특별법에 따라 다시 숙박시설 신축이 늘 것으로 보고 관광객 추이를 반영한 숙박시설 수급계획을 마련해 ...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김만덕기념관 기공식
김만덕기념관 기공식이 오늘 오전, 제주시 건입동 금산생태공원 앞 현장에서 열렸습니다. 사업비 160억 원을 들여 2천 제곱미터 부지에 지상 3층 규모로 조성되는 김만덕기념관에는 나눔교육관과 전시관, 기부센터 등이 들어서며 올해 말 준공 예정입니다. 김만덕기념관은 당초 모충사에 건립될 계획이었지만, 기념관 활용...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제주 화폐환수액 최고치 기록
관광객 증가에 따라 제주지역 화폐환수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화폐환수액은 1년 전보다 470억 원 증가한 8천140억 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인 화폐환수율도 326%로, 전국 평균 73%보다 4.5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관광객들이 도외에...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관광숙박시설 사업계획 승인 신청 감소
관광 숙박시설 신축 신청이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제주도는 올들어 관광숙박업 사업계획 승인 신청 건수는 11건에 780실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도는 정부의 관광숙박시설 확충 특별법에 따라 다시 숙박시설 신축이 늘 것으로 보고 관광객 추이를 반영한 숙박시설 수급계획을 마련해 ...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김만덕기념관 기공식
김만덕기념관 기공식이 오늘 오전, 제주시 건입동 금산생태공원 앞 현장에서 열렸습니다. 사업비 160억 원을 들여 2천 제곱미터 부지에 지상 3층 규모로 조성되는 김만덕기념관에는 나눔교육관과 전시관, 기부센터 등이 들어서며 올해 말 준공 예정입니다. 김만덕기념관은 당초 모충사에 건립될 계획이었지만, 기념관 활용...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제주 화폐환수액 최고치 기록
관광객 증가에 따라 제주지역 화폐환수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화폐환수액은 1년 전보다 470억 원 증가한 8천140억 원으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발행액 대비 환수액 비율인 화폐환수율도 326%로, 전국 평균 73%보다 4.5배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관광객들이 도외에...
홍수현 2014년 03월 11일 -

서귀포시 인구 상반기 16만 명 돌파 예상
서귀포시 인구가 16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서귀포시지역 인구는 15만 9천 590명으로 매달 300명 가까이 늘고 있어 올 상반기안에 16만 명을 돌파할 전망입니다. 이는 영어교육도시와 혁신도시 등 대규모 신도시 건설과 귀농귀촌에 따른 인구 유입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
홍수현 2014년 03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