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4.3 희생자 선정관련 헌법소원 제기
◀ANC▶ 일부 보수단체가 4.3사건의 희생자 선정이 잘못 됐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이른바 군법회의 수형인까지 희생자로 포함됐다는게 주된 이유인데, 지난 정부에서 채택한 4.3 진상보고서의 의미를 흔들려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 4.3 사건...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헌법소원 취하하라' 성명
4.3 유족회와 도민연대 등 4.3 관련단체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일부 보수단체의 헌법 소원을 즉각 '취하' 하라고 요구했습니다. 4.3 단체들은 이번 헌법소원은 4.3을 과거 반공·권위주의 시설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라며 반역사적, 반인륜적 도발을 즉각 중단하고 제주도민과 4.3 유족에게 사과하라고 주장했습니다.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제주의료원, 잠수병 전문치료기기 설치
제주의료원에 복합 잠수병 전문치료기기가 설치가 완료돼 본격적으로 운영에 들어갑니다. 이번에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허가를 받은 이 치료기기는 최대 7기압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로 한번에 5명까지 치료가 가능하고 기존에 할 수 없었던 심해 잠수부 치료로 할 수 있게 됩니다. 기존에는 최대 3기압, 1인용 치료기...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향토문화예술진흥 용역 중간보고회
향토문화예술진흥 중장기 계획에 대한 보완 용역 중간보고회가 오늘 오후, 제주도청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제주학 센터를 설립해 민속자료를 통합 관리하고 청소년 문화의 집을 활용해 민속보존회 등 읍면동 자생문화 단체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제시됐습니다. 그러나 기존에 추진하던 전통문화보전 관리연구...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의료관광 활성화 간담회
의료관광 상품 개발 활성화 간담회가 오늘 오전, 제주도청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간담회에서 제주자치도는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해 올해, 외국인 초청 팸투어와 해외 투자 설명회를 개최하고 의료관광상품 개발협의회를 구성해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투자개방형 병원으로 이름을 바꾼 영리법인 병원을 허용하기 위...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국제화장학재단 사업 계획 확정
올해 국제화 인재 육성사업에 8억 2천여만 원이 투자됩니다. 제주국제화장학재단은 정기이사회를 열고 사업 계획을 확정했는데 올해 퀴즈대회 우승자 해외연수와 중학생 여름방학 영어 캠프, 도서지역 영어학교 운영 등 10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현재까지 적립된 기금 59억 원을 활용해 저소득층과 소년소녀...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연안습지 관광벨트 조성 추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와 서귀포시 성산읍을 잇는 연안습지 생태 관광벨트 조성이 추진됩니다. 제주자치도는 해안 조간대와 성산일출봉, 우도 등을 잇는 이 지역에 생태계 복원 사업과 습지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해 정부에 녹색뉴딜사업 지정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또, 올래코스를 개발하고 정부지원이 결정되면 민자 시...
권혁태 2009년 03월 09일 -

유기동물 보호센터 신축
버려지는 동물을 통합해 관리하는 유기동물 보호센터가 마련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6억 원을 들여 현재 제주시 1곳, 서귀포시 2곳으로 나눠져 있는 유기동물 보호소를 통합해 광역 유기동물 보호센터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또, 분산된 인력을 통합해 전담팀을 구성하고 새로 만들어지는 보호센터를 공원 형식으로 꾸며...
권혁태 2009년 03월 08일 -

가금 전염병 조사
닭과 오리 등 가금류에 대한 전염병 감염 여부 조사가 실시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두 차례에 걸쳐 닭과 오리, 메추리와 꿩 등 가금류에 대해 뉴캣슬병 감염 여부를 검사해 올해 안에 가금 전염병 청정 지역 선포를 추진합니다. 또, 예방백신 접종이 의무화된 만큼 항체 검사로 접종 여부를 확인해 위반 농가에 대해서...
권혁태 2009년 03월 08일 -

감귤박 사료 판매 지원
감귤박을 이용한 배합사료 지원 사업이 추진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2억 원을 들여 양축농가가 감귤박 사료를 구입할 경우 20kg 포대당 400원을 보조하기로 했습니다. 감귤박 사료를 이용하는 농가는 지난 2천4년 37농가였으나 지난해에는 132농가로 늘었습니다.
권혁태 2009년 03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