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돼지 유행성설사병 거점소독시설 설치
서귀포시는 돼지 유행성설사병이 발생함에 따라 양돈농가가 밀집한 대정지역에 거점 소독시설 2곳을 설치하고 방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 모든 양돈농가에 방역용 생석회와 소독약을 공급하고 농장 출입차량에 대한 소독을 하도록 했습니다. 서귀포지역에서는 92개 양돈농가가 돼지 14만 여 마리를 사육하고 있습니다.
홍수현 2014년 04월 10일 -

서귀포에 바이오매스 열병합발전시설 착공
서귀포시 토평공업단지에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발전설비가 설치됩니다. 한화 에쓰엔씨는 오늘, 토평공단 부지에서 열병합 발전설비 착공식을 열고 161억원을 들여 내년 상반기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열병합 발전설비는 재선충에 감염돼 베어낸 소나무를 원료로 연간 2만2천 메가와트시의 전력을 생산하고 발전 과정에서 생...
홍수현 2014년 04월 10일 -

유흥주점 중과대상 건축물 조사
제주시는 오늘부터 한 달 동안 중과대상 유흥업소 건축물에 대한 일제조사를 실시합니다. 조사대상은 영업장 면적이 150제곱미터를 초과하는 220여 개 업소로, 영업장 면적이나 무도장 설치 등 중과세 요건에 해당하는 시설 변경사항을 중점 점검합니다. 유흥업소 건축물과 토지에 대해서는 4%의 중과세율이 적용됩니다.
홍수현 2014년 04월 10일 -

돼지유행성설사병 긴급차단방역
제주시는 한림읍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제3종 가축전염병인 돼지 유행성 설사병이 발생함에 따라,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 차단방역을 강화합니다. 해당 농장에는 외부인 출입통제와 가축이동 제한 조치를 내리고, 공수의사를 동원한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각 양돈농가에 긴급 방역약품을 공급하고 이번 주 안에 ...
홍수현 2014년 04월 08일 -

돼지유행성설사병 긴급차단방역
제주시는 한림읍에 있는 한 양돈장에서 제3종 가축전염병인 돼지 유행성 설사병이 발생함에 따라, 확산을 막기 위한 긴급 차단방역을 강화합니다. 해당 농장에는 외부인 출입통제와 가축이동 제한 조치를 내리고, 공수의사를 동원한 예찰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또 각 양돈농가에 긴급 방역약품을 공급하고 이번 주 안에 ...
홍수현 2014년 04월 08일 -

'제주밭담' 세계농업유산 등재
'제주밭담'이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됐습니다. 국제식량농업기구는 제주도의 밭담과 완도군 청산도의 구들장 논을 세계중요농업유산으로 등재하고 내일(4일), 지정서를 수여한다고 밝혔습니다. '제주밭담'은 천년 이상 오랜시간에 걸쳐 조성됐고, 농토 경계 표시와 함께 바람을 걸러 농작물을 보호하는 등의 기능을 갖춘...
홍수현 2014년 04월 03일 -

서귀포 건축허가 증가세 지속
서귀포지역 건축허가 면적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올 1분기 건축허가 면적은 617개동에 31만 제곱미터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4% 늘어나는 등 지난 2천10년 이후 계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건축 용도별로는 숙박시설이 19만 제곱미터로 3배 가까이 급증하면서 전체 허가면적의 60%를 차지...
홍수현 2014년 04월 03일 -

천지동 아랑조을거리 전선 지중화
서귀포시 천지동 아랑조을거리 전선 지중화 사업이 추진됩니다. 서귀포시는 올해 사업비 16억 원을 한전과 50%씩 부담해 천지동 아랑조을거리 870미터 구간에 전선을 지중화하기로 했습니다. 음식특화거리로 지정된 아랑조을거리는 지난 2천12년, 1차로 450미터 구간에 전선 지중화 사업이 이뤄졌습니다.
홍수현 2014년 04월 03일 -

제주흑우 수정란 이식 사업 확대
제주흑우 수정란 이식사업이 확대 추진됩니다. 제주도 축산진흥원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제주흑우 사육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올해 수정란 이식사업을 지난해보다 70마리 늘어난 200마리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시지역 4농가에 60마리, 서귀포지역 12농가에 140마리를 선정하고 농가에 이식 기술교육...
홍수현 2014년 04월 03일 -

고산-조수 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추진
제주시는 한경면 고산.조수 재해위험지구 정비공사를 착공하고 80억 원을 들여 오는 2천 16년까지 배수로 정비와 저류지 설치를 마무리 할 계획입니다. 이 지역은 태풍이나 호우 등으로 주택과 농경지 침수 피해가 잦아 지난 2천7년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됐습니다.
홍수현 2014년 04월 0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