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회의산업 정보포털 시스템 구축
도내 국제 회의시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인터넷 포털 정보시스템이 구축됩니다. 제주자치도는 9천여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오는 4월까지 도내 국제회의 시설과 교통,음식,관광지 정보, 국제회의 유치시 제공되는 각종 인센티브를 정리한 포털시스템을 인터넷으로 제공합니다. 이 사이트는 영어와 일본어, 중국어로도 제작...
권혁태 2008년 02월 08일 -

건설경기 저조
올들어 건설 경기가 다소 위축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달 건축허가면적은 6만3천여 제곱미터로 지난해 같은기간의 16만여 제곱미터에 비해 6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주거용과 농수산용 허가면적은 소폭 증가했지만, 상업용과 관광,공업용 허가 면적이 50에서 80% 정도 줄어들었습니다.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빗물이용시설 지원사업 추진
빗물 이용 시설 의무설치 대상이 확대됩니다. 제주자치도는 빗물을 저장해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장에 대해 총 공사비의 80%를 보조해주고 있는데 앞으로 의무 설치 대상에 비닐하우스와 온실, 공공기관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도내에서는 골프장과 관광지 82곳에서 빗물을 모아 이용하고 있는데 연간 61만 톤의 ...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청소년 자원봉사 증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참가자는 모두 5만4천여 명으로 2천 6년에 비해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새로 등록한 청소년 자원봉사자도 모두 4천700여 명으로 90% 증가했습니다. 이는 주5일 수업 실시와 봉사활동 의무화 등에 인한 것으...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클린하우스 설치 확대
지역별 쓰레기 거점 배출 시스템인 클린하우스가 확대 설치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는 2천 9년까지 모두 120억 원을 투자해 도 전역에 820개의 클린하우스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클린하우스는 전국 최초로 제주에서 시범실시해 지방행정혁신 우수사례로 꼽힌 바 있는데 지난해 다른 지방 32곳의 행정기관에서 견학을 다...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건설경기 저조
올들어 건설 경기가 다소 위축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달 건축허가면적은 6만3천여 제곱미터로 지난해 같은기간의 16만여 제곱미터에 비해 6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주거용과 농수산용 허가면적은 소폭 증가했지만, 상업용과 관광,공업용 허가 면적이 50에서 80% 정도 줄어들었습니다.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빗물이용시설 지원사업 추진
빗물 이용 시설 의무설치 대상이 확대됩니다. 제주자치도는 빗물을 저장해 사용하는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장에 대해 총 공사비의 80%를 보조해주고 있는데 앞으로 의무 설치 대상에 비닐하우스와 온실, 공공기관을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도내에서는 골프장과 관광지 82곳에서 빗물을 모아 이용하고 있는데 연간 61만 톤의 ...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청소년 자원봉사 증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참가자는 모두 5만4천여 명으로 2천 6년에 비해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새로 등록한 청소년 자원봉사자도 모두 4천700여 명으로 90% 증가했습니다. 이는 주5일 수업 실시와 봉사활동 의무화 등에 인한 것으...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클린하우스 설치 확대
지역별 쓰레기 거점 배출 시스템인 클린하우스가 확대 설치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오는 2천 9년까지 모두 120억 원을 투자해 도 전역에 820개의 클린하우스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클린하우스는 전국 최초로 제주에서 시범실시해 지방행정혁신 우수사례로 꼽힌 바 있는데 지난해 다른 지방 32곳의 행정기관에서 견학을 다...
권혁태 2008년 02월 07일 -

연휴기간 음식점 영업안내
제주자치도는 설 연휴기간 도민과 관광객 불편을 최소화 하기위해 비상근무반을 편성해 음식점 이용안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휴기간 문을 여는 음식점은 모두 200여 군데로 파악됐는데 날짜별로 문을 여는 음식점은 도청 보건위생과나 제주시 위생관리과, 서귀포시 사회복지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권혁태 2008년 02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