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제주민속박물관, 역사 속으로
◀ANC▶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박물관이 제주에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50년 전 문을 연 제주 민속박물관인데요, 머지않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고 합니다. 권혁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지난 천964년, 전국 최초로 등록된 사립박물관인 제주 민속박물관. 반 백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
권혁태 2014년 07월 28일 -

(리포트)제주민속박물관, 역사 속으로
◀ANC▶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박물관이 제주에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50년 전 문을 연 제주 민속박물관인데요, 머지않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다고 합니다. 권혁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지난 천964년, 전국 최초로 등록된 사립박물관인 제주 민속박물관. 반 백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 ...
권혁태 2014년 07월 28일 -

흐린 날씨, 내일까지 최고 30mm 비
휴일인 오늘 제주지방은 곳에 따라 약한 비가 내리면서 고산 14밀리미터, 서귀포 3밀리미터의 강수량을 기록했습니다. 제주지방에는 내일까지 5에서 30밀리미터의 비가 오겠고, 당분간 구름이 많이 끼고 대기 불안정으로 소나기가 오는 날씨가 이어지겠습니다. 내일까지 산간지역과 바다에는 안개가 끼는 곳이 있어 교통 ...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리포트)연꽃 만발
◀ANC▶ 무더위와 장맛비가 오락가락하는 날씨 때문에 지친 분들 많으실텐데요. 화사하게 피어난 연꽃을 바라보면서 잠시라도 더위를 식혀보시는 건 어떨까요?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VCR▶ 무더위를 식혀주는 소나기가 연못 곳곳을 적시는 오후. 만여 제곱미터가 넘는 넓은 공간을 채운 연꽃들이 몸을 움직입니...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제주 화물운송 문제 해결 촉구
새정치민주연합의 김우남 의원이 제주 화물운송 문제 해결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김우남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 농림부와 해수부 등 관계기관이 화물 운송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농수산물 해상 물류비 지원도 서두르라고 요구했습니다. 김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 운항 중단과 ...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흐린 날씨, 내일까지 최고 30mm 비
휴일인 오늘 제주지방은 곳에 따라 약한 비가 내리면서 고산 14밀리미터, 서귀포 3밀리미터의 강수량을 기록했습니다. 제주지방에는 내일까지 5에서 30밀리미터의 비가 오겠고, 당분간 구름이 많이 끼고 대기 불안정으로 소나기가 오는 날씨가 이어지겠습니다. 내일까지 산간지역과 바다에는 안개가 끼는 곳이 있어 교통 ...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리포트)연꽃 만발
◀ANC▶ 무더위와 장맛비가 오락가락하는 날씨 때문에 지친 분들 많으실텐데요. 화사하게 피어난 연꽃을 바라보면서 잠시라도 더위를 식혀보시는 건 어떨까요?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VCR▶ 무더위를 식혀주는 소나기가 연못 곳곳을 적시는 오후. 만여 제곱미터가 넘는 넓은 공간을 채운 연꽃들이 몸을 움직입니...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제주 화물운송 문제 해결 촉구
새정치민주연합의 김우남 의원이 제주 화물운송 문제 해결을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김우남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 농림부와 해수부 등 관계기관이 화물 운송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농수산물 해상 물류비 지원도 서두르라고 요구했습니다. 김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 운항 중단과 ...
권혁태 2014년 07월 27일 -

(리포트)제주인구 2025년 100만 명?
◀ANC▶ 제주 인구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체류 인구까지 포함하면 2천25년에 100만 명에 이를거라는 예측인데 주택과 대중교통 등 도시 계획의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서울에서 10년 동안 IT관련 사업을 했던 김우진 씨. 그는 3년 전 제...
권혁태 2014년 07월 24일 -

각급 학교에 전기요금 지원
제주도교육청은 여름철 냉방수요가 늘 것으로 보고 도내 185개 초,중,고교에 전기요금 보전금으로 9억 원을 지원합니다. 이번 보전금은 전기요금 납부로만 사용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학습 환경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권혁태 2014년 07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