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저소득층 저축 지원 사업 지원
저소득계층 가계저축을 지원하는 사업이 실시됩니다. 제주시는 오는 10일까지 희망키움 통장과 내일키움 통장 가입자를 모집하는데, 이 통장들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가운데 일정 금액을 저축해 3년 이내 수급자 신분을 벗어나면 정부가 저축액의 최대 5배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또, 가입자들이 3년 이내 취업이나 창업...
권혁태 2013년 07월 07일 -

축산시설 집중점검
여름철을 맞아 축산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이 이뤄집니다. 제주시는 특별 점검반을 편성해 양돈장이나 축사 등의 가축분뇨 처리 실태와 액비저장 장소에 대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또, 9월 말까지 가축분뇨 냄새 민원처리 상황실을 운영해 가축분뇨 무단 방류 등에 대해 상시적인 감시 체계를 갖추기로 했습...
권혁태 2013년 07월 07일 -

대부업체 운영실태 조사
대부업체에 대한 운영실태 전수조사가 실시됩니다. 제주시는 오는 26일까지 등록 대부업체 50곳을 대상으로 거래 현황과 매입 채권현황, 법정 이자율 준수 여부 등에 대해 조사합니다. 제주시는 자료제출이나 조사를 거부하는 업체에게는 최고 2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등록을 취소할 계획입니다.
권혁태 2013년 07월 07일 -

저소득층 저축 지원 사업 지원
저소득계층 가계저축을 지원하는 사업이 실시됩니다. 제주시는 오는 10일까지 희망키움 통장과 내일키움 통장 가입자를 모집하는데, 이 통장들은 기초생활보장수급자 가운데 일정 금액을 저축해 3년 이내 수급자 신분을 벗어나면 정부가 저축액의 최대 5배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또, 가입자들이 3년 이내 취업이나 창업...
권혁태 2013년 07월 07일 -

축산시설 집중점검
여름철을 맞아 축산사업장에 대한 집중 점검이 이뤄집니다. 제주시는 특별 점검반을 편성해 양돈장이나 축사 등의 가축분뇨 처리 실태와 액비저장 장소에 대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점검합니다. 또, 9월 말까지 가축분뇨 냄새 민원처리 상황실을 운영해 가축분뇨 무단 방류 등에 대해 상시적인 감시 체계를 갖추기로 했습...
권혁태 2013년 07월 07일 -

장마전선 영향, 흐린 날씨
주말인 오늘 제주지방은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흐리고 곳에 따라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산간과 해안에 10mm 안팎의 비가 내린 가운데 밤사이 5에서 30mm의 비가 더 내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강한 바람과 함께 지역에 따라 시간당 20mm의 폭우가 내리는 곳도 있겠습니다. 휴일인 내일은 장마전선의 영향에서 점차 벗...
권혁태 2013년 07월 06일 -

(리포트)스테인레스 조각전
◀ANC▶ 무더운 여름, 더위를 피할 곳을 찾기 위해 고민이 많으실텐데요. 좀처럼 보기 힘든 스테인레스 조각전이 열리고 있는 미술관은 어떨까요? 권혁태 기자가 소개합니다. ◀END▶ ◀VCR▶ 흔히 돌로 만들어지는 불탑. 이 매끈한 표면의 탑은 녹슬지 않는 철, 스테인레스 철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방향에 따라 빛이...
권혁태 2013년 07월 06일 -

도내 최초 심방세동 절제술 시술
심방세동 증상을 외과 수술없이 치료하는 고주파 절제술이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한라병원에서 이뤄졌습니다. 한라병원은 오늘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발작성 심방세동 진단을 받은 60대 환자에 대해 고주파 절제술을 시술했습니다. 고주파 절제술은 가슴을 절개하는 대신 다리 혈관을 통해 전극도자를 심장으로 보내 치료...
권혁태 2013년 07월 06일 -

해양레저기구 증가
해양레저 기구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모터보트와 수상 오토바이 등 등록된 수상레저기구는 45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8% 늘었습니다. 기구별로 보면 모터보트가 329대로 가장 많고 고무보트 75대, 수상오토바이 50대 입니다. 국민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주 5일 근무제가 정착되면서 수상레...
권혁태 2013년 07월 06일 -

자연장지 꾸준히 증가
나무나 잔디에 유골을 뿌리는 자연장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자연장지는 지난 2천9년 974 제곱미터에서 지난달 말 현재, 만5천 제곱미터로 크게 늘었습니다. 특히, 자연장을 이용한 가족묘지와 문중 묘지가 100여 곳에 이르고 있습니다. 저출산과 고령화 등으로 관리가 쉬운 자연장지를 선호하는 ...
권혁태 2013년 07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