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서귀포시 복지관련 민원 한 달 평균 600건
서귀포시가 지난해 국민기초보장 등 9개 복지사업 관련 민원 처리현황을 조사한 결과, 모두 7천500건으로 한 달 평균 600건이 접수처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업별로는 보육료 관련이 3천600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초노령연금 천800건, 기초수급자 650건 순 이었습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12일 -

서귀포시 자동차세 연납 신청접수
서귀포시는 올해분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시청 세무과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받고 있습니다. 자동차세를 이달에 연납하면 연세액의 10%, 3월에 납부하면 7.5% 등 일부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서귀포시에서 연납제도를 통해 징수된 자동차세는 만5천여 건에 40억6천만 원입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11일 -

서귀포시 자동차세 연납 신청접수
서귀포시는 올해분 자동차세 연납신청을 시청 세무과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받고 있습니다. 자동차세를 이달에 연납하면 연세액의 10%, 3월에 납부하면 7.5% 등 일부를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지난해 서귀포시에서 연납제도를 통해 징수된 자동차세는 만5천여 건에 40억6천만 원입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11일 -

신년기획<7> 행정체제개편 마무리
◀ANC▶ 올해는 제주도 행정체제개편에 대한 논의가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추진 일정이 당초보다 늦어져 내년 6월 치르는 지방선거 때 개편안을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홍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행정에 대한 주민만족도가 떨어지면서 제주도 행정체제개편...
홍수현 2013년 01월 09일 -

서귀포시, 노후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
서귀포시는 올해 노후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 대상 희망자 신청을 오는 25일까지 각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받습니다. 석면 노출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이번 사업은 550가구를 대상으로 1가구당 최고 240만 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서귀포시에서는 72가구에 1억2천여만 원이 지원돼 지붕 해체와 처리 작업...
홍수현 2013년 01월 09일 -

신년기획<7> 행정체제개편 마무리
◀ANC▶ 올해는 제주도 행정체제개편에 대한 논의가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추진 일정이 당초보다 늦어져 내년 6월 치르는 지방선거 때 개편안을 적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홍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행정에 대한 주민만족도가 떨어지면서 제주도 행정체제개편...
홍수현 2013년 01월 09일 -

서귀포시, 노후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
서귀포시는 올해 노후 슬레이트 처리 지원사업 대상 희망자 신청을 오는 25일까지 각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접수받습니다. 석면 노출에 따른 피해를 막기 위한 이번 사업은 550가구를 대상으로 1가구당 최고 240만 원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서귀포시에서는 72가구에 1억2천여만 원이 지원돼 지붕 해체와 처리 작업...
홍수현 2013년 01월 09일 -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 지원
서귀포시는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오는 25일까지 각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접수를 받습니다. 지원품목은 욕창 방지용 방석과 보행 보조차, 음성 탁상시계 등 14가지며, 서귀포시에 등록된 장애인 가운데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한해 심사를 거쳐 지원합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08일 -

서귀포시 복지예산 작년대비 7.7% 증가
서귀포시는 올해 복지분야에 전체 예산의 25%인 천389억 원을 투입합니다. 이 예산은 지난해 대비 7.7% 증가한 것으로 서귀포시민 1인당 90만 원에 이르는 규모입니다. 올해 추진되는 주요사업은 셋째 자녀 양육수당과 동홍동 보훈회관 신축, 가출 청소년 남자 단기쉼터 건립 등 입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08일 -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 지원
서귀포시는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무료지원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오는 25일까지 각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접수를 받습니다. 지원품목은 욕창 방지용 방석과 보행 보조차, 음성 탁상시계 등 14가지며, 서귀포시에 등록된 장애인 가운데 기초생활보장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한해 심사를 거쳐 지원합니다.
홍수현 2013년 01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