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데이

[강원영동]감자 도입 200년 만에 수출국으로... K-감자 큰 인기

◀ 앵 커 ▶

올해는 감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지 

200년이 되는 해입니다.


감자는 그동안 소중한 식량자원으로 

활용돼 왔죠.


그런데 이제는 우리나라가 감자 원산지에 

씨감자를 수출하는 농업 강국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MBC강원영동 이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해발고도 800m의 대관령입니다.


드넓은 고랭지 밭이 

짙은 녹색으로 물들었습니다.


벼 농사가 어려운 산악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감자입니다.


◀ st-up ▶ [이준호 기자]

"강원지역의 중요한 식량 자원 역할을 한 

감자는 200년 전,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파악됩니다."


[ CG ]

"조선시대 후기에 쓴 책에 나온 

감자에 대한 기록을 보면,

감자는 외국에서 한반도 북쪽으로 전해졌는데, 그 시기가 1824년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또 땅을 안 가리고 잘 자란다며, 

부지런히 심으면 흉년에서 

구할 수 있다고 나와 있습니다."


이후, 우리나라에서 감자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건 1961년부터입니다.


◀ INT ▶진용익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6.25 이후에 식량이 부족했기 때문에, 

씨없는 수박으로 유명한 우장춘 박사께서 

감자를 (연구하고) 생산할 수 있는 기관인 

고령지 시험장을 설립하도록 지시를 하셨고..."


대관령에 들어선 고령지 시험장을 중심으로 

씨감자 개발이 60여 년간 이뤄졌습니다.


그 결과, 각종 환경에 잘 적응하는 

감자 품종을 쉰 개 가까이 만들었습니다.


이 가운데 바이러스 감염이 잘 안 되는 

무병 품종은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감자의 고향으로 알려진 중남미 나라의 

과학자들이 찾아와 관련 기술을 

전수 받고 있습니다.


◀ INT ▶가브리엘라 나베즈 / 에콰도르 국립농업연구소(INIAP)

"여러분이 다루는 기술 개발은 매우 뛰어나며

수준이 높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농부들에게 효과적으로 전수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씨감자를 수입하거나,

수경 재배 기술을 도입한 나라는 

에콰도르를 포함해 20여 곳입니다.


고령지농업연구소는 앞으로 감자를 이용해

다양한 소재를 개발하는 등 원천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새로운 목표입니다. 


◀ INT ▶조지홍 /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장

"앞으로는 화장품이라든가 잘 썩는, 

녹말을 이용한 플라스틱 그런 쪽으로 해서

산업화를 강화하고..."


K-감자가 식량 자원을 넘어

이를 활용한 산업으로까지 확장을 시도하면서

세계인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준호입니다.(영상취재 최기복)

◀ END ▶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