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인수위,'제주도 현안 대응 미츱, 무사안일주의'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 인수위원회가 제주도정의 현안대응이 미흡하고 무사안일주의에 빠져있다는 평가를 내놓았습니다. 인수위는 제주도의 업무보고를 종합평가한 결과, 버스 준공영제 확대는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며 제2공항 문제는 추진 의지만 반영해 갈등 해소 대안은 마련하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제주...
권혁태 2022년 06월 29일 -

(기획2)새로운 산업 생태계 구축이 관건
◀ANC▶ 제주를 이끌어온 국제자유도시라는 비전이 이제 시효가 끝났다는 평가 속에 새로운 산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과제를 짚어보는 두번째 순서.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사람, 상품,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표방한 국제자유도시 계획. 그러나 ...
권혁태 2022년 06월 29일 -

(기획2)새로운 산업 생태계 구축이 관건
◀ANC▶ 제주를 이끌어온 국제자유도시라는 비전이 이제 시효가 끝났다는 평가 속에 새로운 산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민선 8기 제주도정의 과제를 짚어보는 두번째 순서.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사람, 상품,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표방한 국제자유도시 계획. 그러나 ...
권혁태 2022년 06월 28일 -

(기획1) 투명 행정, 정보공개, 소통이 핵심
◀ANC▶ 민선 8기 제주도정이 이번주 출범합니다. 가장 큰 현안은 제주 곳곳의 갈등 해결인데요. 해묵은 갈등을 풀 수 있는 핵심적인 열쇠는 무엇인지 권혁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END▶ ◀VCR▶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제2공항 갈등, 그리고 오등봉 공원 개발 사업을 둘러싼 의혹과 법정 공방으로 치닫고 있는 영리병...
권혁태 2022년 06월 28일 -

한라산 무단 입산 등 불법행위 특별단속
한라산국립공원관리소는 지난 4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두달 동안 불법행위자 64명을 적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유형별로는 탐방로 이외 무단 입산이 26명으로 가장 많았고 불법 야영 25명, 흡연 9명입니다. 올들어 한라산 탐방객은 4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 늘었는데 제주도는 여름철을 맞아 주요지점에 ...
권혁태 2022년 06월 28일 -

올해 한라산 구상나무 결실율 이례적으로 높아
올해 한라산 구상나무의 종자 결실율이 이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 세계자연유산본부가 구상나무의 결실율을 조사한 결과 나무 당 평균 120.2개로 지난해 평균 34.8개보다 월등히 많았습니다. 지난해에는 개화기에 기온변화와 해충 피해로 종자 결실율이 낮았던 것으로 분석됐는데 세계유산본부는 추가 ...
권혁태 2022년 06월 28일 -

(기획1) 투명 행정, 정보공개, 소통이 핵심
◀ANC▶ 민선 8기 제주도정이 이번주 출범합니다. 가장 큰 현안은 제주 곳곳의 갈등 해결인데요. 해묵은 갈등을 풀 수 있는 핵심적인 열쇠는 무엇인지 권혁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END▶ ◀VCR▶ 수년째 지속되고 있는 제2공항 갈등, 그리고 오등봉 공원 개발 사업을 둘러싼 의혹과 법정 공방으로 치닫고 있는 영리병...
권혁태 2022년 06월 27일 -

코로나 19 환자, 5개월 만에 최저
제주에서는 어제 코로나 19 확진자 67명이 발생했고 오늘은 오후 5시까지 60명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지난 1월 28일의 44명 이후 다섯달 만에 가장 적은 숫자입니다. 현재 도내 코로나 19 위중증 환자는 2명이며 재택치료자는 690여 명입니다.
권혁태 2022년 06월 27일 -

트레일러 이용한 불법 숙박영업 적발
제주도 자치경찰단은 야영용 트레일러를 이용해 불법 숙박영업을 한 혐의로 업소 관계자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 업소는 제주시 이호유원지 도로 변에 야영용 트레일러인 카라반 2대를 세워놓고 투숙객들로부터 하루에 10만 원 안팎을 받고 미등록 숙박 영업을 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제주에서 이동식 카라반 불법 숙...
권혁태 2022년 06월 27일 -

저소득층 대상 한시 긴급 생활지원금 지급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시 긴급 생활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제주도는 오는 27일부터 생계, 의료수급자에게 40만 원, 차상위 계층에 30만 원 등 자격과 가구인원 별로 긴급 생계비를 지역화폐인 탐나는전 카드로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지급 대상은 2만 5천여 가구에 3만 9천여 명으로 131억 원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권혁태 2022년 06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