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신세계프리미엄 전문관 논란 재점화
◀ANC▶ 제주신화월드에 지난해 문을 연 신세계 프리미엄 전문관을 두고 지역 중소상인들이 또 다시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상인들은 인허가 과정에 문제가 있고 중소벤처기업부 권고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VCR▶ 서귀포시 안덕면 제주신화월드에 지난해 10월 ...
권혁태 2022년 06월 22일 -

녹지병원 두번째 개설허가 취소, 소송전 확대될 듯
◀ANC▶ 국내 첫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에 대해 제주도가 개원을 미뤘다는 이유로 허가를 취소한 것은 부당하다는 대법원의 판결이 올해 초 나왔었는데요. 제주도가 이번에는 녹지측을 영리병원을 운영할 수 있는 외국법인으로 볼 수 없다며 두번째로 허가를 취소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권혁태 2022년 06월 22일 -

jDC, 공공임대주택 임대료 동결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운영하는 임대주택의 임대료가 동결됩니다. 개발센터는 공공임대 주택 793세대에 대해 앞으로 2년 동안 임대료를 동결한다고 밝혔습니다. 임대료 동결은 임대보증금에도 적용되며 계약 갱신이 도래하는 입주민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됩니다.
권혁태 2022년 06월 22일 -

제주평화포럼에 우크라이나 대사 초청
제주도가 오는 9월 개최되는 제주포럼에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를 초청했습니다. 제주도는 제주포럼 글로벌평화도시연대 세션 특별 토론자로 우크라이나 대사를 초청하기로 하고 조속한 종전과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도민 메시지 모음집을 전달했습니다. 또 제주포럼 기간에 우크라이나 평화기원 사진전도 열고 도시간 연대...
권혁태 2022년 06월 22일 -

녹지병원 두번째 개설허가 취소, 소송전 확대될 듯
◀ANC▶ 국내 첫 영리병원인 녹지국제병원에 대해 제주도가 개원을 미뤘다는 이유로 허가를 취소한 것은 부당하다는 대법원의 판결이 올해 초 나왔었는데요. 제주도가 이번에는 녹지측을 영리병원을 운영할 수 있는 외국법인으로 볼 수 없다며 두번째로 허가를 취소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권혁태 2022년 06월 21일 -

제주형 청년보장제. '일자리 공급이 중요'
도지사직 인수위원회가 개최한 '청년보장제' 정책토론회에서 최석현 한국교원대 교수는 인력 공급보다 적정 수준의 일자리를 우선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오영훈 당선인의 주요 공약 가운데 하나인 청년보장제는 정규교육 졸업 후나 실업 상태인 청년층에게 고용과 교육, 훈련 등의 기회를 제공하...
권혁태 2022년 06월 21일 -

제11대 도의회 마무리...지하수 관리˙어업인 수
제11대 도의회가 마지막 임시회를 끝으로 활동을 마무리했습니다. 마지막 본회의에서는 농어업용 지하수 사용량 만큼 요금을 부과하는 지하수 관리 조례 개정안과 어업인들에게 4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하는 어업인 수당 조례안이 가결 처리됐습니다. 한편 좌남수 의장은 임시회 폐회사에서 세종자치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출...
권혁태 2022년 06월 21일 -

추경예산 역대 최대규모 8천500억 원 편성
◀ANC▶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이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민생대책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8천500억 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예산을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겠다는 구체적인 방향은 논의가 더 필요하다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방선거 이후...
권혁태 2022년 06월 21일 -

추경예산 역대 최대규모 8천500억 원 편성
◀ANC▶ 오영훈 제주도지사 당선인이 코로나19를 극복하기 위한 민생대책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8천500억 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편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예산을 어디에 어떻게 사용하겠다는 구체적인 방향은 논의가 더 필요하다면서 말을 아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방선거 이후...
권혁태 2022년 06월 20일 -

당근, 양배추에 대해 제주형 농산물 가격안정관리제
지난 겨울 제주에서 출하된 당근과 양배추에 대한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제주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4월까지 당근과 양배추 값이 목표관리 기준 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농산물 가격안정관리제를 발령하고 모두 444농가에 10억 8천만 원을 지원합니다. 농산물 가격안정관리제는 정부 수급조절 품목에서 제외된 당근...
권혁태 2022년 06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