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 운영
제주도는 오늘(5일)부터 다음달 17일까지를 산불 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감시와 진화 인력 240여 명을 편성해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또 특별단속반도 편성해 산림 인접 지역에서의 소각 행위를 단속하고, 산불이 날 경우 산림청과 소방 헬기를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24시간 비상운영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권혁태 2022년 03월 05일 -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권역형 환경보건센터 지정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이 환경부 권역형 환경보건센터에 지정됐습니다. 전국에서 9곳이 지정된 권역형 환경보건센터는 지역 환경보건 쟁점과 취약 지역을 찾아내고 실태조사와 환경보건 서비스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제주대학교 의과대학에는 앞으로 5년간 매년 예산 6억 원이 지원되며 제주지역 환경성 질환과 유해요소에 ...
권혁태 2022년 03월 05일 -

NT) 제20대 대선 사전투표 오늘과 내일 이틀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오늘과 내일 실시됩니다.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는 도내 사전투표소 43곳에서 오늘과 내일 이틀 동안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선 사전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확진자는 내일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사전투표소에 도착해 양성 통지 문자나 격리 통지서 등을 제시하면 사...
권혁태 2022년 03월 04일 -

제20대 대선 사전투표 내일과 모레 이틀 동안 실
제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내일과 모레, 실시됩니다.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는 도내 사전투표소 43곳에서 내일과 모레 이틀 동안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대선 사전투표를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확진자는 모레 오후 5시부터 6시까지 사전투표소에 도착해 양성 통지 문자나 격리 통지서 등을 제시하면 사...
권혁태 2022년 03월 03일 -

거대 양당 중심 세 과세에 정책 대결은 실종
◀ANC▶ 이번 대선은 코로나 상황 속에서 치러지면서 선거운동 방식도 예전 선거와는 크게 달라졌는데요. 그런데 거대 양당의 세를 동원한 잇따른 후보 지지 선언에 소수정당들은 선거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역 의제나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대결은 사라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권혁태 2022년 03월 03일 -

지역의제 실종, 선거운동도 양극화
◀ANC▶ 이번 대선은 코로나 상황 속에서 치러지면서 선거운동 방식도 예전 선거와는 크게 달라졌는데요. 그런데 거대 양당의 세를 동원한 잇따른 후보 지지 선언에 소수정당들은 선거운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역 의제나 현안 해결을 위한 정책 대결은 사라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권혁태 2022년 03월 02일 -

<선택2022>심상정 '친환경 농가 기본소득' 안
◀ANC▶ 대선 후보들이 내건 제주지역 핵심 공약을 비교 분석해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두 번째로 정의당 심상정 후보의 친환경 농가 기본소득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공산품 무관세 지역 지정 공약을 점검해봤습니다.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VCR▶ 친환경 농가에게 월 3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는 ...
권혁태 2022년 03월 02일 -

<선택2022>심상정 '친환경 농가 기본소득' 안
◀ANC▶ 대선 후보들이 내건 제주지역 핵심 공약을 비교 분석해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두 번째로 정의당 심상정 후보의 친환경 농가 기본소득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공산품 무관세 지역 지정 공약을 점검해봤습니다.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VCR▶ 친환경 농가에게 월 3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는 ...
권혁태 2022년 03월 01일 -

<선택2022>이재명 '제주형 기본소득' vs 윤
◀ANC▶ 제20대 대통령선거가 이제 열흘도 채 남지 않았는데요, 제주MBC는 유권자들의 선택을 돕기 위해 각 후보의 핵심 공약을 골라 비교, 분석하고 이행 방안을 따져보는 순서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첫 순서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제주형 기본소득과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관광청 신설 공약을 권혁태 기자...
권혁태 2022년 03월 01일 -

20대 대선 투표소 확정
제20대 대선을 앞두고, 제주지역 투표소가 확정됐습니다. 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는 사전투표소 43곳을 포함해 230곳의 투표소를 확정하고, 선관위 홈페이지와 포털 사이트 '내 투표소 찾기' 서비스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위치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한편 제주장애인인권포럼은 도내 투표소 143곳을 조사한 결과, 경사로 기...
권혁태 2022년 03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