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항공, 제주-홍콩 등 국제선 운항 추가 감축
제주항공이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 여파로 국제선 항공편 574편을 추가로 감축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 2회 운항했던 제주와 홍콩 노선이 오는 3월 29일까지 운항 중단됩니다. 제주항공은 지금까지 국제선 1040편과 국내선 838편을 감편했는데, 운항이 취소된 항공편은 다른 노선으로 변경이나 환불하...
조인호 2025년 01월 08일 -

대설-한파예보 농작물 피해예방 특별관리 당부
대설과 한파 예보에 따라 농작물 피해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은 비닐하우스 파손과 전기 고장에 따른 농작물 2차 피해, 월동채소 언 피해 등이 우려된다며 열풍기 가동과 비상발전기 점검, 약제 살포와 환기 등 특별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언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온도는 제주도 영...
조인호 2025년 01월 08일 -

제주 관광객 급감…올해 경제성장률 하락
◀ 앵 커 ▶ 정치적 불안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까지 발생하면서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올해 제주 경제성장률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조인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제주공항 도착 대...
조인호 2025년 01월 08일 -

제주 범죄·생활안전 10년 연속 전국 최하위
제주지역 범죄와 생활안전지수가 10년 연속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지난해 지역안전지수에서 제주도는 범죄와 생활안전에서 가장 낮은 5등급을 받았고, 감염병과 자살 3등급, 교통과 화재는 2등급을 받았습니다, 제주도는 지역안전지수가 발표된 2015년부터 10년 연속으로 범죄와 생활안전에서 5...
조인호 2025년 01월 04일 -

화북주상복합용지 800억 원대로 가격 낮춰
제주시가 장기간 팔리지 않고 있는 화북상업지역의 주상복합용지 가격을 800억 원대로 낮춰 이달 안에 입찰에 부칩니다. 해당 토지는 지난 2021년 2천660억 원에 팔렸지만 부동산업체가 개발을 포기하면서 계약이 파기됐고, 지난해 927억 원으로 입찰에 부쳤지만 9차례나 유찰됐습니다. 제주시는 올해도 입찰에 실패하면 수...
조인호 2025년 01월 03일 -

제주공항 관제탑 '사각지대'… 신축공사도 멈춰
◀ 앵 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공항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데 그동안 제주공항에서도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왔습니다. 제주공항 관제탑은 사각지대가 있지만 신축 공사가 늦어지고 있고 레이더에서 사각지대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조인호 2025년 01월 03일 -

제주공항 로컬라이저 안전한가? "장담 못해"
◀ 앵 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무안공항에 항공기 유도시설인 로컬라이저를 콘크리트 둔덕에 설치하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주공항은 과연 안전한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제주공항 상공에서 항공기가 접근합니다...
조인호 2025년 01월 02일 -

"조류 충돌 가능성" 제주 제2공항에도 영향?
◀ 앵 커 ▶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원인으로 항공기와 조류가 충돌하는 사고인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무안공항과 마찬가지로 철새 도래지가 근처에 있어 조류 충돌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제주 제2공항 건설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바다 위를 ...
조인호 2024년 12월 31일 -

감사원 "서귀포항 보강공사 안정성 검토 누락"
서귀포항 항만시설 보강공사의 안정성 검토가 누락됐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감사원은 서귀포항 방파제 블록을 보강한 공사업체가 구조적 안정성 검토 없이 설계를 변경했는데도 제주도와 해양수산부가 승인하는 바람에 기준치보다 무게보다 적어 태풍 피해가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감사원은 또, 제주도가...
조인호 2024년 12월 31일 -

어린이 버스 무료 이용카드 2월까지 한시 운영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어린이 버스요금 무료화를 앞두고 제주교통복지카드를 발급받지 못한 어린이를 위해 내년 2월 말까지 어린이 버스 무료 이용카드가 한시적으로 운영됩니다. 이에 따라, 부모의 사정으로 교통복지카드를 발급받지 못한 경우 무료이용카드를 학교와 읍면동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내년 3월부터...
조인호 2024년 12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