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올해 노지감귤 새싹 트임 평년보다 빨라
올해 노지감귤의 새싹이 트는 시기가 평년보다 빠를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제주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올해 노지감귤 새싹 트임 시기는 평년보다 8일 빨라제주시가 28일과 29일, 서귀포시는 26일과 27일 발아가 전망됩니다.농업기술원은어린순과 꽃봉오리가 서리 피해를 입으면새순과 꽃이 늦게 펴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며...
박주연 2024년 03월 05일 -

제주도 미분양 장기화 때 신규주택 승인 제한
미분양 주택 물량이 계속 늘어날 경우신규 주택 승인을 제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제주도는사업 승인 5년이 지난 주택건설 사업장은승인 취소를 검토하고,미분양 물량이 계속 늘어날 경우에는 신규 주택 승인 제한을 검토해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기존주택 매입 단가 범위 안에 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공...
박주연 2024년 03월 05일 -

국힘 제주시갑 전략공천? 빨라지는 총선시계
◀ 앵 커 ▶국민의힘 제주시갑 선거구 후보 공천이미뤄지고 있는 가운데,김영진 예비후보가 직접 나서 중앙당에 조속한 결정을 촉구했습니다.녹색정의당에서는 지도부가 제주를 방문해 지지를 호소했고, 제주시을 민주당과 진보당은후보를 단일화합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영진 국민의힘 제주시갑 예비후...
박주연 2024년 03월 05일 -

국힘 제주시갑 전략공천? 빨라지는 총선시계
◀ 앵 커 ▶국민의힘 제주시갑 선거구 후보 공천이미뤄지고 있는 가운데,김영진 예비후보가 직접 나서 중앙당에 조속한 결정을 촉구했습니다.녹색정의당에서는 지도부가 제주를 방문해 지지를 호소했고, 제주시을 민주당과 진보당은후보를 단일화합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영진 국민의힘 제주시갑 예비후...
박주연 2024년 03월 04일 -

갑질에도 지도·감독 '허술'‥외면했나?
◀ 앵 커 ▶이병철 제주시체육회장의갑질 의혹 보도 이어갑니다.이 회장에 대한 온갖 의혹이 불거지면서 수십억의 예산을 주는 제주시는 물론,도체육회에서도 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았을 텐데요. 뭐가 문제였는지박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목적 체육관 사적 이용과 직장 내 갑질로...
박주연 2024년 03월 01일 -

직원들, 수당 미지급 제주시체육회장 '고소'
갑질 의혹을 받고 있는 제주시체육회장이 결국 고용노동부에 고소됐습니다. 제주시체육회 직원 9명은 초과 근무 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이병철 제주시체육회장을 고용노동부에 고소했습니다. 이들은 체육회 회장이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1.5배로 지급해야하는 휴일 근무 수당을 평일 수당으로 계산해 지급하고, ...
박주연 2024년 03월 01일 -

갑질에도 지도·감독 '허술'‥외면했나?
◀ 앵 커 ▶이병철 제주시체육회장의갑질 의혹 보도 이어갑니다.이 회장에 대한 온갖 의혹이 불거지면서 수십억의 예산을 주는 제주시는 물론,도체육회에서도 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았을 텐데요. 뭐가 문제였는지박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목적 체육관 사적 이용과 직장 내 갑질로...
박주연 2024년 02월 29일 -

직원들, 수당 미지급 제주시체육회장 '고소'
갑질 의혹을 받고 있는 제주시체육회장이 결국 고용노동부에 고소됐습니다. 제주시체육회 직원 9명은 초과 근무 수당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이병철 제주시체육회장을 고용노동부에 고소했습니다. 이들은 체육회 회장이 지난 2021년부터 2023년까지1.5배로 지급해야하는 휴일 근무 수당을 평일 수당으로 계산해 지급하고, ...
박주연 2024년 02월 29일 -

제주시체육회장 갑질 의혹‥문체부 조사 '착수'
◀ 앵 커 ▶제주시체육회장의 갑질 의혹 보도 이어갑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스포츠윤리센터 조사관들이제주를 찾아 본격적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제주시는 논란이 불거진 체육관 대관과 관련해 지침을 만들도록 했고, 제주도 감사위원회도 예비감사를시작했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문화체육관광부 스포...
박주연 2024년 02월 29일 -

어선 내 일회용품 줄이기 조례 제정 추진
어선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조례 제정이 추진됩니다. 제주도의회 강경문 미래환경특별위원회 위원장은어선어업 관계자들을 만나 의견 수렴을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조례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제주지역 해양쓰레기는 지난 2015년 처음으로 만 톤을 넘은 뒤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
박주연 2024년 02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