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대구 경북지역 방문 제주도민 1명 음성 판정
제주도는 대구 경북지역을 방문한 제주도민 1명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한 결과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대구 경북지역을 다녀온 뒤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도민은 47명으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한편, 제주로 돌아온 대구 경북지역 출신 대학생 171명 가운데 104명은 최대 잠복기가 지났고 ...
김항섭 2020년 03월 15일 -

도내 요양병원 코호트 수준 통제
제주지역 요양병원들이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시설 전체를 격리하는 방역 조치인 코호트에 준하는 수준으로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현재 도내 요양병원 9곳은 시설 내 외부인 출입이 완전 차단된 상태로 환자 보호자 출입도 제한되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요양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페렴 증상에 대한 전수...
김항섭 2020년 03월 15일 -

친환경 농산물 공동구매 행사 열려
개학 연기로 학교급식이 중단된 가운데 판로가 막힌 제주산 친환경 농산물을 공동구매하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오늘 열린 공동구매 행사에서는 제주도청과 도교육청 공무원을 비롯한 일반 시민들이 양배추와 시금치 등 6개 품목으로 구성된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천 270상자를 구매했습니다. 농산물 꾸러기 가격은 2.4킬로...
김항섭 2020년 03월 13일 -

무방비 다중이용시설...방역 강화
◀ANC▶ 제주를 여행하고 돌아간 사람들이 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라 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높은데요. 방역당국은 콜센터와 PC방 등 다중이용시설의 방역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드론이 하늘 위로 날아 건물 곳곳에 소독약을 뿌립니다. 사람 손길이 닿지 않는 ...
김항섭 2020년 03월 13일 -

무방비 다중이용시설...방역 강화
◀ANC▶ 제주를 여행하고 돌아간 사람들이확진 판정을 받는 사례가 잇따라지역사회 전파 우려가 높은데요. 방역당국은 콜센터와 PC방 등다중이용시설의 방역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드론이 하늘 위로 날아건물 곳곳에 소독약을 뿌립니다. 사람 손길이 닿지 않는건물 ...
김항섭 2020년 03월 12일 -

무방비 콜센터 비상…감염 위험 높아
◀ANC▶ 서울 구로 콜센터에서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 제주지역 콜센터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좁은 공간에서 상담원들이 하루 종일 전화를 하다 보니 감염 위험이 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도가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는 120 만덕콜센터입니다. 상담원 20여 ...
김항섭 2020년 03월 12일 -

무방비 콜센터 비상…감염 위험 높아
◀ANC▶ 서울 구로 콜센터에서코로나19 집단 감염이 발생하면서,제주지역 콜센터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좁은 공간에서 상담원들이 하루 종일 전화를 하다 보니 감염 위험이 더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도가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는120 만덕콜센터입니다. 상담원 20여 명...
김항섭 2020년 03월 11일 -

2차 긴급돌봄 신청 인원 1,300명 증가
유치원과 초등학교 개학 연기에 따른 2차 긴급돌봄 신청 인원이 증가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2차 긴급돌봄 수요를 조사한 결과 3천800여 명이 신청해, 1차 긴급돌봄 천300여 명 증가했습니다.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긴급 돌봄은 오는 20일까지 희망자에 한해 오전 9시부터 저녁...
김항섭 2020년 03월 11일 -

친환경 농산물 판로 막막
◀ANC▶ 코로나19 확산에 각급 학교들의 개학이 연기되자, 학교 급식도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요. 급식에 의존하는 친환경 농산물 재배 농가들이 판로를 찾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이미 수확이 끝났어야 할 무 밭에 다 자란 무가 가득합니다. 예년 같으면 학교 급식용...
김항섭 2020년 03월 11일 -

봄철 알레르기 질환 유발 삼나무 꽃가루 주의
제주대 환경보건센터는 알레르기 비염과 아토피 피부염 등 봄철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삼나무 꽃가루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환경보건센터 연구 결과 올해 삼나무 꽃가루가 처음 발견된 시기는 서귀포시 1월6일, 제주시 1월19일로 지난해보다 열흘 가량 빨라졌습니다. 환경보건센터는 다음 달 초까지 삼나무 꽃...
김항섭 2020년 03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