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이슈추적② "사업 불가능·전방위 로비"
◀ANC▶ 송악산 '뉴오션 타운' 조성사업의 논란과 문제점을 짚어보는 이슈추적 오늘은 두번째 순서입니다. 해당 사업은 회의록을 작성하지 않은 환경영향평가 심의를 받기 전에 경관 심의도 네 차례나 받았는데요. 취재진이 회의록을 확보해 살펴본 결과 심의위원들은 경관 원칙상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고, 일부 위...
김찬년 2020년 04월 23일 -

이슈추적② "사업 불가능·전방위 로비"
◀ANC▶ 송악산 '뉴오션 타운' 조성사업의 논란과 문제점을 짚어보는이슈추적 오늘은 두번째 순서입니다. 해당 사업은 회의록을 작성하지 않은환경영향평가 심의를 받기 전에 경관 심의도 네 차례나 받았는데요. 취재진이 회의록을 확보해 살펴본 결과심의위원들은 경관 원칙상 사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고, 일부 위원...
김찬년 2020년 04월 22일 -

회의록도 작성 안 했다
◀ANC▶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송악산 개발사업이 도의회의 환경영향평가 동의안 심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환경영향평가 심의 과정에서, 전문기관의 검토의견을 누락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제주MBC 취재 결과, 제주도가 법률에 규정된 환경영향평가 심의 회의록도 작성하지 않은 것으로...
김찬년 2020년 04월 22일 -

이슈추적① 회의록도 작성 안 했다
◀ANC▶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송악산 개발사업이도의회의 환경영향평가 동의안 심사를앞두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환경영향평가 심의 과정에서,전문기관의 검토의견을 누락한 사실이 드러나면서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제주MBC 취재 결과,제주도가 법률에 규정된환경영향평가 심의 회의록도작성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
김찬년 2020년 04월 21일 -

5월 마늘 수확철 앞두고 농번기 인력 지원 추진
코로나19 여파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지역에 인력이 지원됩니다. 제주도는 다음달 마늘 수확철을 앞두고 인력 200명과 자원 봉사자를 모집하고 있으며, 농가 신청을 받아 고령농과 여성농가에는 무상으로 지원하고 일반 농가는 인력을 연결해준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부대의 협조를 얻이 5월 말까지 군 장병들을 마늘 수확...
김찬년 2020년 04월 20일 -

청정바다지킴이 170명 배치…3년 동안 만2천 톤 수거
해안가 정화활동을 벌일 청정바다지킴이 170명이 배치됐습니다. 제주도는 지난 2월부터 기간제 근로자 170명을 채용해 도내 읍면동 별로 모든 해안에 배치했으며, 8개월 동안 정화활동을 벌인다고 밝혔습니다. 청정바다지킴이는 지난 2017년부터 배치돼 최근 3년 동안 해양쓰레기 만2천 톤을 수거했습니다.
김찬년 2020년 04월 20일 -

제주형 재난지원금 오늘부터 온라인 신청
제주도의 '재난긴급생활지원금' 지급 절차가 오늘(20일)부터 시작됩니다. 신청은 온라인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다음달 22일까지 가능하며 온라인은 오늘(20일)부터, 주민센터는 27일부터 시작됩니다. 하지만 다음달 8일까지는 신청 폭주와 처리 지연을 막기 위해 공적마스크 판매처럼 5부제로 운영되고, 제주도청 홈페이...
김찬년 2020년 04월 20일 -

제주도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황금 연휴 '고비'
제주도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원희룡 지사는 이달 말부터 시작되는 황금 연휴 기간에 관광객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며 강화된 방역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외부 확진자 유입에 대비해 현재 해외방문이력자와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진단검사 범위를 확대하는 방...
김찬년 2020년 04월 20일 -

제주도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황금 연휴 '고비'
제주도가 고강도 사회적 거리 두기를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원희룡 지사는 이달 말부터 시작되는 황금 연휴 기간에 관광객이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며 강화된 방역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외부 확진자 유입에 대비해 현재 해외방문이력자와 유증상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진단검사 범위를 확대하는 방...
김찬년 2020년 04월 19일 -

제주형 재난지원금 내일부터 온라인 신청
제주도의 '재난긴급생활지원금' 지급 절차가 내일(20일)부터 시작됩니다. 신청은 온라인과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다음달 22일까지 가능하며 온라인은 내일(20일)부터, 주민센터는 27일부터 시작됩니다. 하지만 다음달 8일까지는 신청 폭주와 처리 지연을 막기 위해 공적마스크 판매처럼 5부제로 운영되고, 제주도청 홈페이...
김찬년 2020년 04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