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4.3유족회 "세계기록유산 신청 조건부 가결 환영"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4.3기록물의 문화재청 조건부 심의 통과에 대해 4.3유족회가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제주4.3유족회는 성명을 통해 이번 조건부 통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 대한 기대가 한 걸음 성큼 다가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희생자 만 4천여 명 가운데 생존자는 116명에 불과하다며 ...
김찬년 2023년 08월 13일 -

제주 갈옷 미래 무형 유산 선정
제주 갈옷이 미래 무형유산으로 선정돼 지역 대표 문화자원으로 육성됩니다. 문화재청은 2024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 육성 사업에 제주 갈옷을 포함한 30개를 선정하고, 전승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제주 갈옷은 감물을 염색해 노동복으로 사용한 제주 전통 의상으로 1970년대 이후 복장이 현대화되...
김찬년 2023년 08월 11일 -

제주 고위험음주율 늘어…서귀포시 6.5%p 상승
제주지역 고위험음주율이 코로나19 이후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고위험음주율은 13.8%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올랐고, 전국에서 강원 충북에 이어 4번째로 높았습니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6.5%포인트로 가장 많이 올랐고, 제주시 서부지역은 4.8% 포인트 감소했습니...
김찬년 2023년 08월 11일 -

제주도민 55.6% "학교폭력 중독예방 해결해야"
제주교육 해결 과제로 학교폭력과 중독 예방이 꼽혔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도민 천 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6%가 교육청이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학교폭력과 중독 예방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사교육비 절감과 교육복지 확대, 초등 돌봄 확대 등의 순이었습니다. 가장 만족하는 정...
김찬년 2023년 08월 11일 -

제주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1조 6천억 투입
제주지역 자연재해저감을 위해 앞으로 10년 동안 1조 6천억 원이 투입됩니다. 제주도는 제2차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33년까지 1조 6천891억 원을 들여 206건의 저감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하천 정비와 저류지 설치 등 구조적 저감대책에 1조 6천억 원, 재난 예경보시스템과 자동기상시스템 등 비구조...
김찬년 2023년 08월 11일 -

제주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1조 6천억 투입
제주지역 자연재해저감을 위해 앞으로 10년 동안 1조 6천억 원이 투입됩니다. 제주도는 제2차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2033년까지 1조 6천891억 원을 들여 206건의 저감대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하천 정비와 저류지 설치 등 구조적 저감대책에 1조 6천억 원, 재난 예경보시스템과 자동기상시스템 등 비구조...
김찬년 2023년 08월 10일 -

(필러) 농작물 태풍 피해 예방 이렇게
◀ANC▶ 수확을 앞둔 농작물 피해도 우려되는데요. 어떻게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을지, 손령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END▶ ◀VCR▶ 논의 경우, 배수로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논두렁의 폭을 넓히거나 물꼬를 여러 곳 더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제방이 무너지지 않도록 미리 점검하는 ...
김찬년 2023년 08월 10일 -

(필러) 침수차량 전자제품 관리법
◀ANC▶ 이번 태풍, 침수피해도 많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침수 차량, 전자제품 관리법을 박진주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END▶ ◀VCR▶ 자동차 침수 피해를 줄이려면 일단 저지대 주차를 피해야 합니다. 차량이 침수됐다면 엔진을 켜지 말고 바로 견인조치 해 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동이 꺼졌을 때 엔진을 켜면 ...
김찬년 2023년 08월 10일 -

(필러) 산 속·야영장·해안가 대피 요령은?
◀ANC▶ 폭우가 내리면 갑자기 불어난 물이나 높게 몰려오는 파도 때문에 산속이나 해안가에 놀러 간 여행객들이 낭패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태풍이 영향권에 들어왔을 때 가장 위험한 곳은 능선 사이의 계곡입니다. 폭우로 계곡물이 불면 ...
김찬년 2023년 08월 09일 -

(필러)간판·창문 구조물 관리법은?
◀ANC▶ 태풍이 오면 호우뿐만 아니라 강풍에 의한 피해도 만만치 않습니다. 거센 바람에 간판들은 뜯겨져나가고 창문도 깨지는 경우가 많아지는데요.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전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김재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END▶ ◀VCR▶ 외벽에 아슬아슬 매달려 있던 간판이 강풍에 휩쓸려 날아가...
김찬년 2023년 08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