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연중기획 > 마이크로 투어리즘 확산.. 제주관광
◀ANC▶ 제주관광이 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 대신 숨어있는 명소를 찾아다니는 마이크로 투어리즘, 작은 여행인데요. 제주관광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연중 기획뉴스, 오늘은 첫 순서로 마이크로 투어리즘이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중산간마을 외딴 감귤밭에 ...
송원일 2022년 04월 12일 -

<연중기획 > 마이크로 투어리즘 확산.. 제주관광
◀ANC▶ 제주관광이 변하고 있습니다. 유명 관광지 대신 숨어있는 명소를 찾아다니는 마이크로 투어리즘, 작은 여행인데요. 제주관광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모색하는 연중 기획뉴스, 오늘은 첫 순서로 마이크로 투어리즘이 어떻게 확산되고 있는지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중산간마을 외딴 감귤밭에 ...
송원일 2022년 04월 11일 -

장성철 제주도지사선거 출마 선언
국민의힘 장성철 전 제주도당위원장은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도지사 출마를 선언했습니다. 장성철 예비후보는 원희룡 도정 7년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쓰레기 오폐수 해결과 제주 제2공항 추진, 월 30만 이하 고급영구임대주택 공급 등 10대 핵심 과제를 추진해 제주의 책임있는 변화를 이루겠다고 밝혔습니다...
송원일 2022년 04월 07일 -

제주 자생 왕벚나무 보급 과제
◀ANC▶ 제주도내 벚꽃 명소에 심어진 왕벚나무들은 대부분 수십 년 전에 일본에서 자란 왕벚나무를 접목해서 기른 것들입니다. 몇년 전부터 공공기관에서 가로수는 제주 자생 왕벚나무로 교체하기 시작했는데 민간 묘목시장에서는 여전히 일본산이 유통되고 있다고 합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송원일 2022년 04월 06일 -

제주 자생 왕벚나무 보급 과제
◀ANC▶ 제주도내 벚꽃 명소에 심어진 왕벚나무들은 대부분 수십 년 전에 일본에서 자란 왕벚나무를 접목해서 기른 것들입니다. 몇년 전부터 공공기관에서 가로수는 제주 자생 왕벚나무로 교체하기 시작했는데 민간 묘목시장에서는 여전히 일본산이 유통되고 있다고 합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송원일 2022년 04월 05일 -

올들어 증가하던 관광객 지난달 주춤
올들어 증가하던 관광객이 지난 달 감소세로 돌아섰습니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지난 1월과 2월 제주를 찾은 관광객은 220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6만 명보다 75%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지난달에는 88만 명이 찾아, 지난해 같은 기간 89만 명보다 소폭 감소했습니다. 이는 지난 달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
송원일 2022년 04월 05일 -

제주지역 기업경기 석달째 하락세
제주지역 기업경기가 3개월째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발표한 지난달 제주지역 기업경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는 62로 2월보다 7포인트 하락했고 전국 평균 83보다 21포인트 낮았습니다. 특히 매출지수는 76으로 6포인트 떨어졌고 채산성지수도 80으로 4포인트 하락했습니다. ...
송원일 2022년 04월 05일 -

도의원 정수 확대 법안 처리 또 연기
기초의원 중대선거구제 도입 등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의 내일(오늘) 국회 본회의 처리가 무산되면서 제주도의원 선거구 획정을 위한 제주 특별법 개정안 처리도 늦어지게 됐습니다. 제주 특별법 개정안은 도의원 정수를 3명 늘리거나 교육의원을 폐지하는 방안을 담고 있습니다. 여.야는 선거구 획정과 관계없이 공천...
송원일 2022년 04월 04일 -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효과
올해부터 본격 시행에 들어간 투명페트병 분리 배출 제도가 효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달까지 분리 수거된 투명페트병은 160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3톤보다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이는 2리터 삼다수병 320만 개에 해당하는 양인데, 제주시는 현재 추세대로 라면 연말까지 700톤을 수거할 수...
송원일 2022년 04월 04일 -

훼손한만큼 복원하는 '복원의무제' 도입 검토
각종 개발로 환경이 훼손되면 다른 곳에 그만큼 복원하도록 하는 생태복원의무제 도입이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환경자원총량관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3차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고, 보존해야 할 제주의 환경자원 총량을 설정한 뒤 개발로 훼손되는 만큼 다른 곳에 복원하는 복원의무제 도입을 검토할 계획입니다. 또, 생태...
송원일 2022년 04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