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학교폭력 피해학생 대책 외면
학교폭력 피해 학생에 대한 대책이 겉돌고 있습니다. 교과부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도내 학교폭력 전문기관 15곳에서 지난달까지 학교폭력 관련 치유 실적을 보면 가해학생은 98%인 400여 명이었고, 피해학생은 2%인 8명에 그쳤습니다. 이는 전국 기관의 피해학생 치유 비율 24%에 못 미치는 것으로, 학교폭력 피해 학...
송원일 2012년 10월 29일 -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늘어
제주도내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고 있지만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허가 실적은 192가구로 지난 8월 155가구보다 24% 늘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41% 증가했습니다. 특히 올들어 인허가 실적도 3천300여 가구로, 도시형생활주택 ...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대입수능시험 종합대책 마련
제주도교육청은 다음달 8일 치르는 대입수능시험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했습니다. 우선 시험 당일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제주도와 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오전 6시 30분부터 8시10분까지 시내버스 운행을 늘리고 시험장 입구 200미터 앞에서 모든 차량의 진입을 통제합니다. 또, 시험장 주변에서는 공사를 일시 중...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읍면지역 통학버스 이용률 24% 그쳐
농어촌 초등학생들의 통학버스 이용률이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국회 교과위 민주당 유기홍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내 읍면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7군데의 학생 220명 가운데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52명으로 24%에 그쳐, 부산 15%에 이어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유기홍 의원은 이들 지역의 초등학생 62%가 걸어서 ...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지난해 채소 씨앗 수입액 62억 원
지난해 우리나라 채소 종자 수입액은 484억 원으로, 이 가운데 제주의 수입액은 13%인 62억 원이었습니다. 제주도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작물별로는 양파가 15억 원으로 가장 많고 당근 12억 원, 무 9억 원 순이었습니다. 특히, 종자 자급률도 당근 15%, 양파 7%, 양배추 1%였고, 브로콜리는 100% 수입에 의존...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졸업앨범 수의계약 비율 전국 최고
학교 졸업앨범의 수의계약 제작 비율이 제주가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교과부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지역 초,중,고등학교 졸업앨범을 1인 수의계약으로 제작한 비율이 95%를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입찰과 조달청을 통한 제작비율은 3%에도 못 미쳐 전국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교...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 늘어
제주도내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고 있지만 도시형 생활주택 인허가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도내 도시형 생활주택의 인허가 실적은 192가구로 지난 8월 155가구보다 24% 늘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41% 증가했습니다. 특히 올들어 인허가 실적도 3천300여 가구로, 도시형생활주택 ...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대입수능시험 종합대책 마련
제주도교육청은 다음달 8일 치르는 대입수능시험 종합대책을 마련해 발표했습니다. 우선 시험 당일 원활한 교통흐름을 위해 제주도와 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오전 6시 30분부터 8시10분까지 시내버스 운행을 늘리고 시험장 입구 200미터 앞에서 모든 차량의 진입을 통제합니다. 또, 시험장 주변에서는 공사를 일시 중...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읍면지역 통학버스 이용률 24% 그쳐
농어촌 초등학생들의 통학버스 이용률이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국회 교과위 민주당 유기홍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내 읍면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7군데의 학생 220명 가운데 통학버스를 이용하는 경우는 52명으로 24%에 그쳐, 부산 15%에 이어 전국 최하위 수준입니다. 유기홍 의원은 이들 지역의 초등학생 62%가 걸어서 ...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 -

지난해 채소 씨앗 수입액 62억 원
지난해 우리나라 채소 종자 수입액은 484억 원으로, 이 가운데 제주의 수입액은 13%인 62억 원이었습니다. 제주도가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작물별로는 양파가 15억 원으로 가장 많고 당근 12억 원, 무 9억 원 순이었습니다. 특히, 종자 자급률도 당근 15%, 양파 7%, 양배추 1%였고, 브로콜리는 100% 수입에 의존...
송원일 2012년 10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