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지역 미분양주택 3배 급증
지난달 제주지역 미분양주택 물량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국토해양부가 발표한 전국미분양주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달 제주지역 미분양 물량은 982채로 지난 8월 265채보다 세 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이는 수도권의 평균 증가율 0.1%와 지방 평균 증가율 5.1%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제주도내 주택시장이 빠르게 침체되...
송원일 2012년 10월 26일 -

(리포트) 교육행정질문
◀ANC▶ 오늘 열린 제주도의회 교육행정질문에서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 문제와 학교 비정규직 고용안정 대책을 놓고 공방이 오갔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도의원들의 질문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에 집중됐습니다.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하고 농어촌 마을공동체의 붕괴를 초래...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학교 비정규직 고용안정 미흡
일선 학교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안정이 미흡하다는 지적입니다. 도의회 강경찬 의원에 따르면 도내 초,중,고등학교의 비정규직 기간제 노동자는 천75명으로 이 가운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돼 고용이 안정된 경우는 42%에 그쳤습니다. 이는 울산의 65%, 전북과 충남의 58%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것입니다. 강...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제주, 0교시 수업 전국 1위
제주지역 중,고등학교의 0교시 수업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민주당 이상민 의원에 따르면 제주지역 56개 중,고등학교 가운데 88%인 49곳이 0교시 수업을 하고 있고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특히, 광주와 울산, 강원, 전북에서는 0교시 수업을 하는 학교가 없었습니다.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학교 절전설비 도입 비율 전국 꼴찌
일선 학교에 의무 설치하도록 규정된 절전설비 도입 비율이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습니다. 도의회 강경식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내 183개 학교 가운데 절전설비가 설치된 곳은 33곳으로 설치율이 19%에 그쳐, 대구 100%, 울산 98%, 대전 95%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 크게 뒤쳐져 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큰 학...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리포트) 교육행정질문
◀ANC▶ 오늘 열린 제주도의회 교육행정질문에서는 소규모 학교 통폐합 문제와 학교 비정규직 고용안정 대책을 놓고 공방이 오갔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도의원들의 질문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 정책에 집중됐습니다.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의견을 무시하고 농어촌 마을공동체의 붕괴를 초래...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학교 비정규직 고용안정 미흡
일선 학교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안정이 미흡하다는 지적입니다. 도의회 강경찬 의원에 따르면 도내 초,중,고등학교의 비정규직 기간제 노동자는 천75명으로 이 가운데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돼 고용이 안정된 경우는 42%에 그쳤습니다. 이는 울산의 65%, 전북과 충남의 58% 등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낮은 것입니다. 강...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제주, 0교시 수업 전국 1위
제주지역 중,고등학교의 0교시 수업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민주당 이상민 의원에 따르면 제주지역 56개 중,고등학교 가운데 88%인 49곳이 0교시 수업을 하고 있고 이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특히, 광주와 울산, 강원, 전북에서는 0교시 수업을 하는 학교가 없었습니다.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학교 절전설비 도입 비율 전국 꼴찌
일선 학교에 의무 설치하도록 규정된 절전설비 도입 비율이 전국 최하위에 머물고 있습니다. 도의회 강경식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내 183개 학교 가운데 절전설비가 설치된 곳은 33곳으로 설치율이 19%에 그쳐, 대구 100%, 울산 98%, 대전 95% 등 다른 지역과 비교해 크게 뒤쳐져 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이에 대해 큰 학...
송원일 2012년 10월 25일 -

학교 인조잔디구장 문제
국회 교과위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에 따르면 제주도내 46개 학교의 인조잔디 운동장 가운데 67%인 31곳에서 하자가 발생해 전국 평균 23%보다 3배 가량 높았습니다. 특히 인조잔디 운동장의 내구 연한이 8년이지만 후속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습니다. 제주도교육청은 2천14년부터 재시공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다...
송원일 2012년 10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