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이슈추적 4)수산업 방식 바꾸고 기후변화 통합
◀ANC▶ 지구온난환에 따른 이슈추적 마지막 순서입니다. 수온상승으로 해양생태계가 변하고 있지만 우리 수산업은 이전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해양생태계 변화에 대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도는 1997년부터 해마다 수산종자 방류사업...
송원일 2021년 11월 11일 -

코로나19 확진자 6일 연속 두 자릿수 기록
제주에서는 오늘 오후 5시까지 코로나19 확진자 21명이 발생해 6일 연속 두 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 이 가운데 21명 가운데 13명은 도내 확진자의 접촉자였고, 제주시 요양병원 관련 집단감염이 5명이 추가됐고, 서귀포시 사우나 관련도 5명이 추가됐습니다. 서귀포시 한 초등학교에서도 확진자가 발생해 긴급 진단검사가 ...
송원일 2021년 11월 11일 -

도의원 정수 3명 늘리고 행정시장 예고제 의무화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의원과 위성곤 의원은 도의원 정수를 늘리고 행정시장 예고제 의무화를 담은 제주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개정안은 제주도의원 선거구 획정위원회에서 권고한 내용을 토대로 도의원의 주민대표성을 강화하기 위해 도의원 정수를 43명에서 46명으로 3명 늘리고, 제왕적 도지사 권한을 견제하기 ...
송원일 2021년 11월 11일 -

(아침용) 아열대 어종 증가 .. 바뀌는 수산업지
◀ANC▶ 최근 수온이 상승하면서 제주 바다에는 아열대성 물고기들이 새로 나타나고 개체 수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신 자리돔이나 방어 같은 제주 대표 어종들은 동해안으로 북상해 수산업 지도가 변하고 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는 제주 연안 바다의 어...
송원일 2021년 11월 11일 -

아열대 어종 증가 .. 바뀌는 수
◀ANC▶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슈추적 세 번째 순서입니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제주 바다에는 아열대성 물고기들이 새로 나타나고 개체 수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대신 자리돔이나 방어 같은 제주 대표 어종들은 동해안으로 북상해 수산업 지도가 변하고 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국립수산과...
송원일 2021년 11월 10일 -

아열대성 홍조류 확산, 어민들 피해
◀ANC▶ 제주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서 크기가 작고 붉은 색을 띠는 아열대성 해조류인 홍조류가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민들의 소득원인 감태와 우뭇가사리 같은 대형 갈조류가 줄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성산일출봉 주변 바다에서 10년 가까이 해조...
송원일 2021년 11월 10일 -

제주 소비자물가 상승 폭 전국 최고.. 기름값 영
최근 제주지역의 소비자 물가 상승 폭이 큰 이유는 기름값 인상과 관광객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가 주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에 따르면 올들어 제주지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이는 제주의 자가용 이용률이 높아 기름값이 인상되면 차량유지비가 오르고 선박...
송원일 2021년 11월 10일 -

(이슈추적 2) 아열대성 홍조류 확산, 어민들 피
◀ANC▶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슈추적 두 번째 순서입니다. 제주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면서 크기가 작고 붉은 색을 띠는 아열대성 해조류인 홍조류가 빠르게 번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어민들의 소득원인 감태와 우뭇가사리 같은 대형 갈조류가 줄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
송원일 2021년 11월 09일 -

제주 방문 관광객 작년보다 39일 앞서 1천만 돌
올들어 제주를 찾은 관광객이 지난해보다 39일 빠른 오늘(어제) 천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제주 방문 관광객 수는 지난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2월 17일에 천만 명을 돌파했지만 올해는 백신 접종이 이뤄지면서 작년보다 한 달 이상 앞서 천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관광협회는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인한 여행 수요 증가로 ...
송원일 2021년 11월 09일 -

돌산호 확산으로 바다생태계 교란
◀ANC▶ 지구온난화 때문에 세계 곳곳에서 이상기후와 생태계 교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제주MBC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제주바다 생태계의 변화상을 취재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뉴스를 마련했습니다. 이슈추적, 오늘은 첫 순서로 제주 바다에 빠르게 번지고 있는 아열대성 돌산호의 실태를 송원일 기자가 취재했...
송원일 2021년 11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