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도의회, 제주시청 신청사˙해상풍력˙일자리재단 제동
제주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제주시청 신청사 건립 계획은 막대한 재정부담이 우려된다며 내년 지방선거 이후로 논의를 미루기로 했습니다. 환경도시위원회는 한동 평대 해상풍력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전자기파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심사를 보류했고 농수축경제위원회는 제주 일자리 재단 설립 조례안을...
송원일 2021년 11월 01일 -

제주 코로나19 신규확진 어제 4명…누적 3,090명
제주에서는 어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4명이 발생했고, 오늘은 오전까지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아 누적 확진자 수는 3천90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어제 신규 확진자 4명 가운데 1명은 도내 확진자의 접촉자이고, 1명은 다른 지역 방문객, 1명은 해외 입국자, 나머지 1명은 감염 경로를 확인중입니다. 한편, 제주...
송원일 2021년 10월 29일 -

다음주부터 단계적 일상회복…관광업계 기대감
◀ANC▶ 제주에서도 다음달 1일부터 새로운 방역체계인 '단계적 일상회복 1차 개편'이 시행됩니다. 그동안 어려움을 겪던 관광업계와 자영업자들은 조심스럽게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에서도 단계적 일상회복 1차 개편이 다음달 1일 시행되면 유흥시설을 뺀 모든 ...
송원일 2021년 10월 29일 -

재경 4.3 단체 4.3배보상 공개 논의 촉구
서울에 있는 4.3 관련 단체들이 4.3 배.보상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방침과 관련해 입장문을 내고 공개적인 논의를 촉구했습니다. 재경제주4.3희생자,피해자유족회와 재경제주4.3희생자유족청년회, 제주4.3범국민위원회는 행정안전부가 그동안 제주에서 일부 유족을 대상으로 비공개 설명을 했을 뿐, 유가족에게 공개적으로 ...
송원일 2021년 10월 29일 -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논란 이어져
◀ANC▶ 향후 10년간의 제주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확정하기 위한 막바지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도의회 현안 보고에서 의원들은 제주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을 요구한 반면, 제주도는 연내 고시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10년...
송원일 2021년 10월 27일 -

제주 해안쓰레기 1위는 담배꽁초
제주 해안쓰레기 가운데 담배꽁초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올해 해안쓰레기를 조사한 결과, 담배꽁초가 전체의 23%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 파편이 22.5%로 뒤를 이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담배꽁초의 90% 이상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돼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 문제가 심각해질 ...
송원일 2021년 10월 27일 -

제주 해안쓰레기 1위는 담배꽁초
제주 해안쓰레기 가운데 담배꽁초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올해 해안쓰레기를 조사한 결과, 담배꽁초가 전체의 23%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 파편이 22.5%로 뒤를 이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담배꽁초의 90% 이상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돼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 문제가 심각해질 ...
송원일 2021년 10월 26일 -

제주지역 땅 값 상승세 이어가
제주지역 땅값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 지가 동향에 따르면 제주는 재작년부터 작년까지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다 올 2분기에 0.23% 오르며 상승세로 돌아선 뒤 3분기에도 0.91%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한편, 토지 거래량은 -20.7%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보이고...
송원일 2021년 10월 26일 -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논란 이어져
◀ANC▶ 향후 10년간의 제주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확정하기 위한 막바지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데요. 도의회 현안 보고에서 의원들은 제주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을 요구한 반면,제주도는 연내 고시 입장을 강조했습니다. 송원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10년 ...
송원일 2021년 10월 26일 -

제주 해안쓰레기 1위는 담배꽁초
제주 해안쓰레기 가운데 담배꽁초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이 올해 해안쓰레기를 조사한 결과, 담배꽁초가 전체의 23%로 가장 많았고 플라스틱 파편이 22.5%로 뒤를 이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담배꽁초의 90% 이상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돼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 오염 문제가 심각해질 ...
송원일 2021년 10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