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하수관로 정비사업에 851억 원 투자
올해 하수관로 정비 사업에 모두 851억 원이 투입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제주시 동지역 구도심과 내도와 이호, 삼양과 화북 등 68km, 서귀포시 서홍동과 예래동, 성산과 대정 등에 22km 등 모두 93km의 하수관로를 정비합니다. 지난 천996년부터 시작된 하수관로 정비 사업은 전체 4천600여 km 가운데 81%인 3천800여 km에...
권혁태 2015년 05월 12일 -

(리포트)제주관광공사, 시내면세점 진출 시도
◀ANC▶ 제주관광공사가 외국인 시내 면세점 사업에 도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롯데가 제주시로 옮기면서 면세점 시장에 공백이 생긴 서귀포에 문을 열겠다는 건데 지역 상권의 우려도 커지도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롯데와 신라, 두 대기업이 양분해온 시내 면세점 시장. 연간 6천억 원...
권혁태 2015년 05월 11일 -

4.3 희생자, 유족 신고 상설화 추진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를 상설화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현재 4.3 특별법 시행령을 개정해야만 할 수 있는 희생자와 유족 신고를 상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행정자치부에 제출했습니다. 특별법이 제정된 지난 2천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희생자와 유족 신고가 이뤄져 만4천여 명이 희생자...
권혁태 2015년 05월 11일 -

(리포트)제주관광공사, 시내면세점 진출 시도
◀ANC▶ 제주관광공사가 외국인 시내 면세점 사업에 도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롯데가 제주시로 옮기면서 면세점 시장에 공백이 생긴 서귀포에 문을 열겠다는 건데 지역 상권의 우려도 커지도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롯데와 신라, 두 대기업이 양분해온 시내 면세점 시장. 연간 6천억 원...
권혁태 2015년 05월 11일 -

4.3 희생자, 유족 신고 상설화 추진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를 상설화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현재 4.3 특별법 시행령을 개정해야만 할 수 있는 희생자와 유족 신고를 상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안을 행정자치부에 제출했습니다. 특별법이 제정된 지난 2천년 이후 지금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희생자와 유족 신고가 이뤄져 만4천여 명이 희생자...
권혁태 2015년 05월 11일 -

(리포트) 네팔 이주민, 도움 절실
◀ANC▶ 지난달, 대지진이 발생한 네팔에선 사망자가 8천 명에 육박하면서, 전 세계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제주에 거주하는 네팔 이주민 50여 명도 현지의 가족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돼 이들을 돕기 위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INT▶ 네팔에서 제주로 이주한지 5...
권혁태 2015년 05월 10일 -

(리포트) 네팔 이주민, 도움 절실
◀ANC▶ 지난달, 대지진이 발생한 네팔에선 사망자가 8천 명에 육박하면서, 전 세계에서 도움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제주에 거주하는 네팔 이주민 50여 명도 현지의 가족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돼 이들을 돕기 위한 행사가 마련됐습니다. 권혁태 기자입니다. ◀END▶ ◀INT▶ 네팔에서 제주로 이주한지 5...
권혁태 2015년 05월 10일 -

(리포트) 선상 카지노 도입,
◀ANC▶ 외국자본 유입 등 큰 변화를 맞고 있는 제주 카지노 산업에 또하나의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정부가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선상 카지노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됩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수천 명의 관광객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대형 크루즈 선. 길이 300미터가 넘는 이 ...
권혁태 2015년 05월 08일 -

(리포트) 선상 카지노 도입,
◀ANC▶ 외국자본 유입 등 큰 변화를 맞고 있는 제주 카지노 산업에 또하나의 변수가 등장했습니다. 정부가 내국인 출입이 가능한 선상 카지노를 추진하겠다고 밝혀 파장이 예상됩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수천 명의 관광객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는 대형 크루즈 선. 길이 300미터가 넘는 이 ...
권혁태 2015년 05월 08일 -

교육청,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지방채 발행검토
국회의 파행으로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도 불투명해졌습니다. 여.야는 보육료 예산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교육청이 지방채를 발행하는 지방재정법 개정안에 합의했지만 본회의 통과가 무산됐습니다. 이에 따라, 지방재정법이 개정되면 정부가 지원하기로 했던 예비비 집행도 불투명해져 교육청 자체 예산이 바닥나는 다음달...
권혁태 2015년 05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