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14회 환경의 날 기념식
제14회 환경의 날 기념식이 오늘 오후, 제주시 한라수목원에서 열렸습니다. 환경 단체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가한 오늘 기념식에서는 환경 보전에 기여한 유관단체와 환경미화원 등 20여 명이 도지사 표창을 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보전에 앞장설 것을...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미생물 국제심포지엄
토착미생물의 역할과 중요성 한일 국제 심포지엄이, 오늘 오후 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심포지엄에서는 일본 측 미생물 전문가인 스즈키 켄 이치로씨는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물자원센터를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 사례와 폐자원을 이용한...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친환경 감귤 전문 산지유통센터 추진
친환경 감귤을 전문으로 처리하는 산지유통센터 건립이 추진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25억 원을 투자해 제주시 영평동과 한경면 저지리 두 곳에 친환경 감귤전문유통센터를 건립합니다. 이 유통센터에는 집하와 선별 시설을 비롯해 저온저장고와 광센서 선별기 등이 갖춰져 연간 친환경 감귤 5천 톤을 처리할 예정입니다...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여름철 가축질병 방역 대책
여름철 가축질병 방역관리 대책이 마련됐습니다. 제주자치도는 축종별 주요 질병 예방 대책을 농가에 교육하고 행정시 별로 피해 신고 센터를 설치해 재해 등 비상상황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또, 오는 8월말까지 도내 농가를 방문해 현장 지도 점검을 실시하고 사료 보관 상태와 급수 시설 위생관리 실태를 점검합니다.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송아지 생산안정 사업 신청 크게 늘어
한우 송아지 가격이 안정기준 가격을 밑돌때 차액을 보전해주는 송아지 생산안정사업 신청이 크게 늘었습니다. 제주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신청농가는 모두 790여 농가에서 6천300여 마리로 지난해보다 74% 증가했습니다. 이 사업은 신청 농가가 한마리에 만 원을 부담하면 기준가격을 밑돌 경우 차액을 정부에서 지급하는 ...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흑돼지 품질 분석
제주 흑돼지 고기 품질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실시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제주 흑돼지 고기와 일반 돼지 고기, 수입 돼지고기에 대한 근내 지방도와 육색, 조직감 등 근육 조직 생화학적 분석기법을 통해 품종별 특징을 밝히기로 했습니다. 분석 결과는 앞으로 제주한 흑돼지 차별화 전략의 기초 자료로 활용됩니다.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리포트)해파리 조기 출현
◀ANC▶ 제주 바다에 해파리가 예년보다 보름 일찍 나타타 해수욕장 개장을 앞두고 비상이 걸렸습니다. 이어도 부근 해상에서 독성 해파리도 관측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개장을 보름 남짓 앞둔 도내 해수욕장이 때이른 해파리 출현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제주시의 관...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제14회 환경의 날 기념식
제14회 환경의 날 기념식이 오늘 오후, 제주시 한라수목원에서 열렸습니다. 환경 단체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가한 오늘 기념식에서는 환경 보전에 기여한 유관단체와 환경미화원 등 20여 명이 도지사 표창을 받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고 환경 보전에 앞장설 것을...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미생물 국제심포지엄
토착미생물의 역할과 중요성 한일 국제 심포지엄이, 오늘 오후 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렸습니다. 오늘 심포지엄에서는 일본 측 미생물 전문가인 스즈키 켄 이치로씨는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생물자원센터를 강화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또,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제거 사례와 폐자원을 이용한...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 -

친환경 감귤 전문 산지유통센터 추진
친환경 감귤을 전문으로 처리하는 산지유통센터 건립이 추진됩니다. 제주자치도는 올해 25억 원을 투자해 제주시 영평동과 한경면 저지리 두 곳에 친환경 감귤전문유통센터를 건립합니다. 이 유통센터에는 집하와 선별 시설을 비롯해 저온저장고와 광센서 선별기 등이 갖춰져 연간 친환경 감귤 5천 톤을 처리할 예정입니다...
권혁태 2009년 06월 0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