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국민의힘 박선호 예비후보 도지사 출마 선언
국민의힘 박선호 제주도지사 예비후보는 제주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로운 제주 경제 발전을 위해 출마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선호 후보는 일주도로 순환 경전철과 폐쓰레기 활용 인공섬 조성, 제주와 서귀포간 자동차 전용 터널과 15년 무상임대주택을 공약했습니다.
조인호 2022년 04월 12일 -

의성 '청년딸기' 수출‥억대·수출 농부로 성장
◀ANC▶ 경상북도 의성에 정착한 청년 농업인들이 스마트팜에서 재배한 '의성 청년딸기'가 첫 수출길에 올랐습니다. 출하 2년차 만에 억대농부, 수출농부로 성장한 건데, 의성군과 경상북도는 청년인구 유입을 위해 다각적으로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안동mbc 김건엽 기자입니다. ◀END▶ 수출용 컨테이너에 '의성 ...
조인호 2022년 04월 12일 -

제주뉴크라운호텔 철거...아파트 건축허가 신청
신세계그룹이 시내면세점 진출을 위해 매입을 추진하다 철회한 제주뉴크라운호텔이 철거됩니다. 뉴크라운호텔을 지난해 매입한 부동산투자전문회사는 최근 이 곳에 183세대 규모의 아파트를 짓겠다며 제주시에 건물 해체와 건축허가를 신청했습니다. 한편, 제주칼호텔과 마리나호텔 등도 문을 닫고 아파트나 주상복합을 신...
조인호 2022년 04월 12일 -

제주항공 지방공항 출발 제주행 탑승객 2년 만에
제주항공의 지방공항 출발 제주행 탑승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항공에 따르면 지방에서 출발하는 제주행 노선 탑승객은 2019년 189만명에서 지난해 271만명으로 2년 만에 43% 늘었습니다. 이는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존 노선을 증편하고 여수와 군산 등 새로운 노선에 취항했기 때...
조인호 2022년 04월 12일 -

민주당 도의원 후보 10명 공천 확정...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이 도의원 후보 1차 공천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제주시 오라동 이승아, 연동 을 강철남, 노형동 을 이상봉 등 후보가 한 명인 선거구 10곳은 공천이 확정됐고 연동 갑과 노형동 갑 등 4곳은 경선지역입니다. 국민의힘 제주도당은 내일부터 이틀동안 도의원 후보 면접을 진행하고 여성과 정치신인은 20...
조인호 2022년 04월 11일 -

다랑쉬굴 4.3 유해 발굴 30주년 특별전 개막
제주 4.3사건 당시 민간인 학살의 참상을 알린 다랑쉬굴 유해 발굴 3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다랑쉬 30'이 4.3 평화기념관에서 개막했습니다. 4.3 평화재단과 제주도가 오는 9월 말까지 여는 특별전에서는 유해 발견 관련 언론 보도와 인터뷰 영상, 사진작품과 유족의 사연을 담은 친필 편지와 경찰과 행정기관의 다랑쉬...
조인호 2022년 04월 11일 -

대구)코로나 사태 속 경북 화훼 '선방'‥ 이유는
◀ANC▶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화훼 농가도 큰 타격을 받았는데요. 올해 1월 공급량 부족으로 잠깐 꽃값이 급등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졸업식, 입학식 등 각종 행사가 대부분 비대면으로 진행되면서 소비 부진으로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 속에서도 경북의 화훼 농가들은 꾸준하게 '선방'을 ...
조인호 2022년 04월 11일 -

\"제주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제도로 보호해야\"
제주남방큰돌고래에 법적 권리를 갖게하는 생태법인 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진희종 제주대 강사는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선언적 이념에만 의존해서는 생태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생태법인 제도를 입법화해 남방큰돌고래에 법인격을 부여하고 후견인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인호 2022년 04월 08일 -

\"제주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제도로 보호해야\"
제주남방큰돌고래에 법적 권리를 갖게하는 생태법인 제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진희종 제주대 강사는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선언적 이념에만 의존해서는 생태위기를 극복할 수 없다며 생태법인 제도를 입법화해 남방큰돌고래에 법인격을 부여하고 후견인을 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조인호 2022년 04월 07일 -

70% 사라진 꿀벌..농업 피해 확산 막아
◀ANC▶ 전국적으로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는 소식 접하셨을텐데요. 전남지역 피해가 심각합니다. 특히 꿀벌이 사라지면 농업 전반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보니 기반 회복이 시급해졌습니다. 김진선 기자입니다. ◀VCR▶ ◀END▶ 8백여 개 통에 꿀벌을 키우던 전남 영암의 한 양봉농가. 올해 초부터 꿀벌들이 사라지면서...
조인호 2022년 04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