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 중소기업 체감 경기·경기전망 '비관적'
경기 침체 장기화로제주지역 중소기업의 체감 경기가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중소기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에 따르면이번 달 제주지역 업황 전망 가운데중소기업 건강도 지수는 67.8로 전달보다 2.7포인트 하락했습니다.경기 전망도제조업 업황 전망이 89.3으로전달보다 6포인트 올랐지만비제조업은 3개월 연속 하락...
박주연 2024년 10월 18일 -

제주시 연동에 무장애 통합놀이터 조성
제주시 연동 지역에무장애 통합놀이터가 만들어집니다. 제주시는사업비 2억 8천만 원을 들여오는 12월까지제주시 연동 충신교회 앞 어린이공원을 무장애 통합 놀이터로 조성합니다. 무장애 통합 놀이터는장애인들도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는놀이 공간으로, 제주에는 지난 2022년 신산공원에 처음 조성됐고, 이번이 두 번...
박주연 2024년 10월 18일 -

인구 감소 제주형 외국인 이민 정책으로 대응
◀ 앵 커 ▶ 제주지역 출생아 수와 합계 출산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인구 감소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제주도가 대응책으로 외국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비자 제도 개선 등 제주형 외국인 정책 추진에 나섰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과거 제주 시내 최고 상권이었던 칠성로. 외국인 관광객...
박주연 2024년 10월 17일 -

저소득 한부모 가족 월동준비금 30만 원 지원
서귀포시가 동절기를 맞아저소득 한부모 가족 140세대에게월동준비금 30만 원씩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지원대상은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360만 9천원 이하인 저소득 한부모가족으로각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22일까지 지원 대상자를 선정하고31일까지 월동준비금이 지급될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 8월말 기준서귀포시...
박주연 2024년 10월 10일 -

올해 대형폐기물 처리 건수 11% 증가
식당과 호텔 폐업이 잇따르면서 대형폐기물 처리 건수도 늘어났습니다. 제주시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까지 신고 처리한 대형폐기물은 26만 5천여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했습니다. 제주시는 음식과 숙박업 폐업이 늘면서 대형폐기물 신청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박주연 2024년 10월 09일 -

올해 김만덕상 수상자 김춘열·김미자 선정
제45회 제주도 김만덕상 수상자로 봉사 부문에 김춘열씨, 경제인 부문에 김미자씨가 선정됐습니다. 김춘열씨는 1960년부터 봉사활동을 시작해 노인복지시설에서 배식과 목욕 등 일주일에 한차례 이상 꾸준히 봉사활동을 해 온 공로가 인정됐습니다. 김미자씨는 2017년부터 수협 조합장을 지내면서 여성경영인으로 어민 소득...
박주연 2024년 10월 09일 -

행정체제개편 주민투표 실시 지원 건의
오영훈 도지사가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을 위한 연내 주민투표를 위해 제주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을 만나 주민투표 실시를 건의했습니다. 이날 면담에 앞서 오영훈 지사와 제주지역 국회의원들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주형 기초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주민투표의 연내 실시를 촉구하고...
박주연 2024년 10월 09일 -

범섬 생태계 파괴 토끼 16마리 생포
천연보호구역인 서귀포시 범섬에 서식하며식생을 갉아먹는 토끼들이 일부 포획됐습니다. 제주도 세계유산본부는지난달 포획 작업을 시작해 11마리가 잡혔고,이달에도 5마리를 추가 포획했습니다. 포획된 토끼들은 제주 유기동물보호센터로 옮겨져 중성화 수술을 거친 후 자연생태공원에서 보호 관리 중입니다. 한편, 지난해...
박주연 2024년 10월 09일 -

제주도 관광지 만족도 2년 만에 1위에서 7위로
관광지 만족도에서 제주도가 2년 만에 1위에서 7위로 떨어졌습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가 올해 1박 이상 국내 여행자 만 7천여 명에게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강원도가 1위, 제주가 7위를 기록했습니다. 제주는 지난 2016년부터 7년 동안 부동의 1위를 차지했지만 지난해 4위로 하락한 뒤 올해는 7위까...
박주연 2024년 10월 08일 -

제주 소비자물가 상승률 44개월 만에 0%대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4개월 만에 0%대를 기록하면서 물가 상승폭이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제주 소비자물가지수는 114.0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상승하는데 그쳤습니다. 지난 2021년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를 기록한 이후 44개월 만에 가장 ...
박주연 2024년 10월 0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