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설 연휴 공영주차장 무료 개방
설 연휴 공영주차장이 무료 개방됩니다. 제주시는 설 연휴 기간인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시내 공영 유료주차장 62곳을 무료로 개방합니다. 그러나 이용객이 많은 제주국제공항 입구 공영 주차장과 칠성상가 주차장은 기존처럼 유료로 운영합니다.
김항섭 2022년 01월 22일 -

올해 설 차례상 비용 30만 원 넘어
올해 설 차례상 비용이 30만 원을 넘어섰습니다. 제주상공회의소가 최근 제주지역 재래시장에서 26개 제수용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4인 가족 기준으로 차례상을 준비하는데 드는 비용은 30만 천 원으로 지난해보다 12.9% 올라 처음으로 30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두부가 68.4%로 가장 많이 올랐고, 돼지고기 21...
김항섭 2022년 01월 21일 -

문대림 JDC 이사장 사직…신임 이사장 공모
문대림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이사장이 국토교통부에 사직서를 제출했습니다. 이에 따라 JDC 임원추천위원회는 오늘 이사장 공모를 내고 다음 달 3일까지 이사장 지원서류를 접수하는 등 인선에 착수했습니다. 문대림 이사장은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도지사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퇴임식은 오는 ...
김항섭 2022년 01월 21일 -

코로나19 오늘 19명 확진…오미크론 4명 추가
제주에서는 오늘 오후 5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19명이 발생했습니다. 신규 확진자 19명 가운데 9명은 도내 확진자의 접촉자이고, 7명은 다른 지역 관련, 2명은 해외입국자이며, 나머지 1명은 감염 경로를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 오미크론 확진자 4명이 추가 확인돼 제주지역의 오미크론 누적 확진자는 61명으로 늘었습니...
김항섭 2022년 01월 21일 -

비자림로 희귀식물 대거 발견…공사 중단해야
비자림로 공사를 반대하는 시민모임은 비자림로 확장 공사 인근 부지에서 멸종위기 야생식물이 대량 발견됐다며 공사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들은 지난 2019년부터 3년 동안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인 '으름난초'와 금새우난초, 나도고사리삼 등 희귀식물 16종이 확인됐다며, 비자림...
김항섭 2022년 01월 21일 -

2050년 온실가스 배출 제로?…'현실성 없다'
◀ANC▶ 제주도가 올해 수소버스를 도입하는 등 본격적인 그린수소 정책을 펼치며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 계획을 세웠는데요, 구체적인 방법과 대안은 부족해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지난 2018년 제주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은 673만 톤. 1990...
김항섭 2022년 01월 21일 -

2050년 온실가스 배출 제로?…'현실성 없다'
◀ANC▶ 제주도가 올해 수소버스를 도입하는 등 본격적인 그린수소 정책을 펼치며 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제로 계획을 세웠는데요, 구체적인 방법과 대안은 부족해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지난 2018년 제주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은 673만 톤. 1990...
김항섭 2022년 01월 20일 -

제주 수소버스 10월부터 운행 …수소 활용 확대가
◀ANC▶ 제주도가 오는 10월부터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수소버스를 도입하고, 수소충전시설을 구축하는 등 그린수소 도입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그런데 이미 생산을 시작한 수소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활용 확대가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시 구좌읍 ...
김항섭 2022년 01월 20일 -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장애인 단체와 간담회 개최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 장애인위원회는 도내 장애인 단체 등과 간담회를 열고, 장애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선 공약에 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국회의원이 참석한 간담회에서 장애인단체 관계자들은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된 전용 목욕탕 설치와 전동휠체어 등 장애인 보조기기 보상...
김항섭 2022년 01월 20일 -

제주 수소버스 10월부터 운행 …수소 활용 확대가
◀ANC▶ 제주도가 오는 10월부터 제주에서는 처음으로 수소버스를 도입하고, 수소충전시설을 구축하는 등 그린수소 도입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합니다. 그런데 이미 생산을 시작한 수소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어 활용 확대가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시 구좌읍 ...
김항섭 2022년 01월 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