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주도, 올해 정보화 사업 468억 원 투자
제주도가 올해 정보화 사업에 468억 원을 투자합니다. 제주도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 연동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에 30억 원을 비롯해 개방형 충전기 운영관리 15억 원, 제주형 공유물류 플랫폼 운영 사업 2억 원 등 4개 분야 139개의 정보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과 위성영상 활용 ...
김항섭 2022년 02월 03일 -

설 연휴 20만 명 제주 방문…124명 신규 확진
◀ANC▶ 이번 설 연휴 기간 동안 20만 명이 넘는 귀성객과 관광객이 제주를 방문했는데요. 도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처음으로 100명을 넘어서는 등 확산세가 가파르게 번지면서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설 연휴 마지막 날 제주공항. 명절을 가족들과 보내고 돌아...
김항섭 2022년 02월 02일 -

청년 취업난 심화…직업훈련 지원 확대
◀ANC▶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들의 일자리 찾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데요. 제주도가 대학 졸업생 등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수강비용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일부 직종만 전액지원돼 보다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도내 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김항섭 2022년 01월 31일 -

청년 취업난 심화…직업훈련 지원 확대
◀ANC▶ 코로나19 장기화로 청년들의 일자리 찾기가 더욱 힘들어지고 있는데요. 제주도가 대학 졸업생 등을 대상으로 직업훈련 수강비용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지만 일부 직종만 전액지원돼 보다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도내 한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김항섭 2022년 01월 30일 -

설 연휴 앞두고 오미크론 확산 비상
◀ANC▶ 설 연휴를 하루 앞두고 20만 명이 몰리는 제주는 오늘부터 본격적인 귀성 행렬이 시작됐는데요. 최근 오미크론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를 고위험군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공항 도착 대합실이 마스크를 낀 사람들...
김항섭 2022년 01월 28일 -

"숙박·렌터카 사용료에 환
제주환경보전기여금을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숙박과 렌터카 사용료에 부과하는 방식이 도입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김태윤 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의장은 제주도의회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공항과 항만 입도객에게 부과할 경우 준조세처럼 보여질 수 있어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자에게 부과하는 방식을...
김항섭 2022년 01월 28일 -

역대 최다 확진…오미크론 확산 우려
◀ANC▶ 제주에서는 하루 70명이 넘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코로나 사태 이후 최다 확진자를 기록했는데요. 특히 전지훈련 집단감염 집단감염에서도 오미크론에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추가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전지훈련이 한창인 ...
김항섭 2022년 01월 28일 -

역대 최다 확진…오미크론 확산 우려
◀ANC▶ 제주에서는 하루 70명이 넘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코로나 사태 이후 최다 확진자를 기록했는데요. 특히 전지훈련 집단감염 집단감염에서도 오미크론에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추가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전지훈련이 한창인 ...
김항섭 2022년 01월 27일 -

전지훈련 집단감염 잇따라…오미크론 대응단계 전환
◀ANC▶ 제주에서는 전지훈련팀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는 등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특히 오미크론 확진 사례가 이어지면서 제주도가 방역 의료체계를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보도입니다. ◀END▶ ◀VCR▶ 제주보건소 선별진료소. 어제 하루 50명이 넘는 코로나19 확진...
김항섭 2022년 01월 27일 -

지난해 초미세먼지 농도 역대 최저치 기록
지난해 제주지역 초미세먼지 농도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3제곱미터 당 14마이크로그램으로 재작년에 비해 6.6% 감소하면서 지난 2015년 관측이 시작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또 지난해 미세먼지 농도 '좋음' 날짜도 267일로 최근 3년 평균 188일보다 42% ...
김항섭 2022년 01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