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 예래단지 정상화 방안 마련될까
◀ANC▶ 대법원 판결로 사업이 중단된 서귀포시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사업에 대해 JDC가 사업 재개에 나서고 있는데요, 토지주 소송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귀포시에서 첫 정상화 지원협의회가 열렸습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대법원의 인허가 무효 판결로 8년째 사업이 중단된 예래휴양형주거단지....
김항섭 2022년 11월 07일 -

천연기념물 제주마 경매 놓고 논란
◀ANC▶ 제주도는 해마다 적정 두수를 초과한 제주마를 천연기념물에서 해제한 뒤 공개 매각해 일반에 분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동물단체들이 매각을 위해 천연기념물에서 해제하는 지금의 정책이 잘못됐고, 또 경매 후 말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반발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
김항섭 2022년 11월 07일 -

제주공항 긴급착륙 베트남 항공기…수리 후 출발
응급환자가 발생해 제주공항에 긴급 착륙한 베트남 항공기가 수리를 마치고 다시 베트남으로 출발했습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을 출발해 베트남으로 향하던 비엣젯 항공기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해 그젯밤 10시 반쯤 제주공항에 긴급 착륙했습니다. 응급환자는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항공기의 슬라이드가 펼쳐지면서...
김항섭 2022년 11월 07일 -

전북지역 가금산물 반입 금지
오늘부터 전북지역의 가금산물 반입이 금지됩니다. 제주도는 전북 순창군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오늘 0시부터 전북지역의 닭과 오리고기, 계란 등 가금산물 반입을 금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제주도는 경북과 충북지역에서 생산되거나 가공된 가금산물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김항섭 2022년 11월 07일 -

제주 국회의원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률 내려야
제주지역 국회의원들이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재조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송재호, 김한규 의원은 공동 입장문을 내고 농사용 전기요금이 최대 74% 폭증했다며, 제주는 전체 전력 판매량 가운데 농사용이 25%를 차지하고 있어 요금 인상으로 인한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김항섭 2022년 11월 07일 -

제주공항 긴급착륙 베트남 항공기…수리 후 출발
응급환자가 발생해 제주공항에 긴급 착륙한 베트남 항공기가 수리를 마치고 다시 베트남으로 출발했습니다. 한국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을 출발해 베트남으로 향하던 비엣젯 항공기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해 어젯밤 10시 반쯤 제주공항에 긴급 착륙했습니다. 응급환자는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항공기의 슬라이드가 펼쳐지면서...
김항섭 2022년 11월 06일 -

전북지역 가금산물 반입 금지
내일부터 전북지역의 가금산물 반입이 금지됩니다. 제주도는 전북 순창군 산란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함에 따라 내일 0시부터 전북지역의 닭과 오리고기, 계란 등 가금산물 반입을 금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제주도는 경북과 충북지역에서 생산되거나 가공된 가금산물의 반입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김항섭 2022년 11월 06일 -

제주 국회의원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률 내려야
제주지역 국회의원들이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재조정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송재호, 김한규 의원은 공동 입장문을 내고 농사용 전기요금이 최대 74% 폭증했다며, 제주는 전체 전력 판매량 가운데 농사용이 25%를 차지하고 있어 요금 인상으로 인한 타격이 클 수 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
김항섭 2022년 11월 06일 -

이중섭 유족 등 유품과 자료 200여 점 기증
이중섭 유족 등이 이중섭미술관에 유품과 자료 200여 점을 기증했습니다. 서귀포시는 이중섭 화가의 차남 이태성씨와 미술평론가 최열, 연구자 서지현 씨로부터 이중섭 추서훈장과 도서, 엽서 등 연구자료 228점을 기증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서귀포시는 오는 8일부터 기증자료전을 이중섭미술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할 예...
김항섭 2022년 11월 06일 -

50세 이상 장년층 1인 위기가구 215명 발굴
제주시는 올해 하반기 1인 가구 실태조사 결과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50세 이상 장년층 1인 위기가구 215명을 발굴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발굴된 위기가구는 고위험군 23명, 저위험군 115명, 일반군 77명 등으로 상담을 거쳐 공적급여나 서비스, 민간 후원금, 돌봄 서비스 연계를 지원했습니다.
김항섭 2022년 11월 0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