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농민단체, 도청 앞 천막 철거…정의당, 사괴 촉구
오영훈 제주도지사의 1차 산업 비중 축소 발언에 반발한 농민들이 제주도청 앞에 설치한 천막을 하루 만에 자진 철거했습니다. 도청 앞 천막에서 밤생 농성을 벌인 농민단체는 오영훈 지사와 김경학 도의회 의장을 만나 면담 약속을 잡은 뒤 천막을 철거했습니다. 한편,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의당 제주도당은 논평을 내고...
김항섭 2022년 10월 14일 -

제주광어가공유통센터 준공…광어 축제 개막
제주 광어를 활용한 가공품을 제조하고 판매하는 제주광어가공유통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제주광어유통센터는 제주시 오라동 7천 400제곱미터 부지에 지어졌으며, 제주산 양식광어를 선어회와 어묵, 생선가스 등으로 즉석 제조하고 판매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편, 오늘부터 이틀 동안 제주광어유통센터 ...
김항섭 2022년 10월 14일 -

(리포트)"주민수용성 없이 어렵다"…대응은 한계
◀ANC▶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추자 해상풍력발전 사업과 관련해 강병삼 제주시장이 사업자 측에 주민수용성 없이는 추진이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사업 인허가권이 없는 제주시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추자도 동.서 해역에 추진되고 있는 세계 최...
김항섭 2022년 10월 14일 -

"주민수용성 없이 어렵다"…대응은 한계
◀ANC▶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추자 해상풍력발전 사업과 관련해 강병삼 제주시장이 사업자 측에 주민수용성 없이는 추진이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사업 인허가권이 없는 제주시의 대응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김항섭 기자입니다. ◀END▶ ◀VCR▶ 추자도 동.서 해역에 추진되고 있는 세계 최...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코로나19 어제 271명…오늘 111명 확진
제주에서는 어제 하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71명이 발생했고, 오늘은 오후 5시까지 11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현재 제주지역에서 격리 치료중인 확진자는 천 여 명이고, 위중증 환자는 없습니다. 최근 일주일 도내 신규 확진자는 천100여 명으로 전주보다 193명 감소했습니다.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리포트)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 해결방안은?
◀ANC▶ 제주에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하면서,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로 발전기를 멈추는 출력제어가 늘고 있는데요. 어쩔 수 없이 발전기를 멈추게 된 사업자들에게 보상책으로 제주형 토큰을 발급하고 지역화폐처럼 쓰자는 방안이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동물학대 의심신고 매년 100여 건…집중점검
제주지역의 동물 학대 의심 신고가 해마다 100여 건에 이르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동물학대 의심신고는 138건이고, 올들어서도 8월까지 131건이 접수됐습니다. 제주에서는 최근 산채로 땅에 묻히거나 화살을 맞은 개가 발견되는 등 학대 의심 신고가 잇따르고 있는데, 제주도는 개 사육 농장 등 39곳...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장기체납 징수
제주시는 장애인 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를 장기간 내지 않은 체납 차량 소유주에게 사전 안내문과 문자를 발송하고 다음 달까지 과태료를 납부하지 않으면 주거래 통장을 압류조치할 방침입니다. 지난 달 기준, 제주시지역의 장애인전용주차구역 위반 과태료 체납액은 9억 5천 200만 원입니다.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농약 유통판매업체 점검…위반업소 6곳 적발
농약관리를 부실하게 한 농약 유통판매업체들이 적발됐습니다. 제주도가 지난 달 도내 농약 유통판매업체 72곳을 대상으로 점검을 실시한 결과 약효 보증기간이 끝난 농약을 보관한 업체 등 6곳이 적발됐습니다. 도는 위반 업체에 대해 경고 처분을 내릴 방침입니다.
김항섭 2022년 10월 13일 -

(리포트) 신재생에너지 출력제어 문제 해결방안은?
◀ANC▶ 제주에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급증하면서,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강제로 발전기를 멈추는 출력제어가 늘고 있는데요. 어쩔 수 없이 발전기를 멈추게 된 사업자들에게 보상책으로 제주형 토큰을 발급하고 지역화폐처럼 쓰자는 방안이 제시돼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의 ...
김항섭 2022년 10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