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기상악화로 일부 항공편 결항(대체)
다른지방 공항의 장맛비와 강한 바람으로 일부 항공기 운항이 차질을 빚었습니다. 오늘 오전 10시 45분 제주에 도착할 예정이던 부산발 대한항공기가 김해공항의 기상악화로 결항되는 등 지금까지 제주노선에 출발과 도착 25편이 결항됐습니다. 공항공사는 항공편 이용객들에게 공항에 나오기 전에 정상운항 여부를 확인해...
홍수현 2008년 06월 18일 -

삼달리 미천굴 일대 배수개선사업 확정
성산읍 삼달리 미천굴 일대에 대한 배수개선사업 계획이 확정됐습니다. 서귀포시에 따르면 지난해 태풍 '나리'로 침수피해를 입었던 성산읍 삼달리 미천굴 주변과 신산리, 신풍리 지역이 국비 지원 배수개선사업지로 선정돼 이달부터 세부설계를 실시하고, 내년부터 공사에 들어갑니다. 사업비 200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
홍수현 2008년 06월 18일 -

서귀포 전원별장 건설 문의 잇따라
서귀포시 지역의 휴양형 전원별장 건설과 관련해 문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서귀포시가 지난달 13일부터 한 달동안 휴양형 전원별장지원 정보센터를 운영한 결과, 별장건설과 토지매입, 세금감면 분야 등에서 모두 23건의 상담이 접수됐습니다. 상담신청자의 거주지는 제주가 11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5건, 울산 3건 ...
홍수현 2008년 06월 18일 -

(리포트)혹고니, 제주에서 첫 관찰
◀ANC▶ 전 세계적으로 희귀새로 보호받고 있는 천연기념물 201-3호인 '혹고니'가 한경면 용수저수지에서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봄이 오면 시베리아로 돌아가는 겨울 철새인 '혹고니'가 여름에 제주에서 관찰되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눈부시게 하얀 몸통에 진한 주황색의 부리를 ...
홍수현 2008년 06월 17일 -

(리포트)혹고니, 제주에서 첫 관찰
◀ANC▶ 전 세계적으로 희귀새로 보호받고 있는 천연기념물 201-3호인 '혹고니'가 한경면 용수저수지에서 카메라에 잡혔습니다. 봄이 오면 시베리아로 돌아가는 겨울 철새인 '혹고니'가 여름에 제주에서 관찰되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눈부시게 하얀 몸통에 진한 주황색의 부리를 ...
홍수현 2008년 06월 17일 -

이 대통령과 면담요구 시위 잇따라
이명박 대통령의 제주방문에 맞춰 미 쇠고기 수입과 해군기지 반대 등을 요구하는 시민단체의 시위가 잇따랐습니다. 이명박 정권심판 제주도민 비상시국회의는 오늘 오전, 신제주로터리에서 미 쇠고기 전면 재협상과 대운하, 민영화 정책 반대 등을 주장하며 이 대통령의 제주방문을 규탄했습니다. 또, 강정마을 주민들도 ...
홍수현 2008년 06월 16일 -

(리포트)화물연대 파업 나흘째, 물류차질 심화
◀ANC▶ 화물연대 파업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제주지역 물류차질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자칫 파업이 장기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농산물과 생필품 수송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지역 화물차 300 여 대가 멈춰선 오늘, 제주항에서 처리한 ...
홍수현 2008년 06월 16일 -

이 대통령과 면담요구 시위 잇따라
이명박 대통령의 제주방문에 맞춰 미 쇠고기 수입과 해군기지 반대 등을 요구하는 시민단체의 시위가 잇따랐습니다. 이명박 정권심판 제주도민 비상시국회의는 오늘 오전, 신제주로터리에서 미 쇠고기 전면 재협상과 대운하, 민영화 정책 반대 등을 주장하며 이 대통령의 제주방문을 규탄했습니다. 또, 강정마을 주민들도 ...
홍수현 2008년 06월 16일 -

(리포트)화물연대 파업 나흘째, 물류차질 심화
◀ANC▶ 화물연대 파업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제주지역 물류차질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자칫 파업이 장기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오고 있는 가운데, 농산물과 생필품 수송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지역 화물차 300 여 대가 멈춰선 오늘, 제주항에서 처리한 ...
홍수현 2008년 06월 16일 -

서귀포시, 제주 은갈치 소비촉진 나서
서귀포시는 최근 갈치 소비 감소에 따른 유통처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제주 은갈치 소비촉진 운동을 벌이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공무원을 중심으로 갈치 사주기 운동을 벌이고, 올해 하반기에는 대도시 소비층을 대상으로 갈치 페스티벌 행사도 벌일 계획입니다. 지난해 서귀포시 갈치 생산액은 700억 원으로 서귀포 ...
홍수현 2008년 06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