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월동무 출하 시작
제주산 월동무 출하가 시작됐습니다. 도내 최대 무 주산지인 성산농협을 중심으로 구좌와 애월, 대정농협이 올해산 세척무 출하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올해 제주지역 무 재배면적은 4천700헥타로 작년보다 270헥타르 늘었고, 여름 태풍으로 파종이 늦어져 12월 이후 후기 출하물량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홍수현 2012년 12월 06일 -

중부.강원 눈날씨로 항공기 결항
중부와 강원지방의 눈날씨로 항공기 운항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에 따르면 오늘 오전 11시 10분 제주에서 원주로 가려던 대한항공 여객기가 원주공항의 눈날씨로 결항되는 등 지금까지 김포와 청주, 원주 등 국내선 50여 편이 결항되고 60여 편이 지연 운항됐습니다. 공항공사는 이용객들에게 공...
홍수현 2012년 12월 05일 -

(리포트) 에너지, 아끼고 덜 쓰고
◀ANC▶ 올 겨울은 고공행진하는 유가와 심각한 전력난 예고 속에 그 어느 때보다 에너지 절약이 요구되고 있는데요, 공공건물과 개인상가 할 것없이 조금이라도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현장을 홍수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제주공항 국제선 도착터미널. 오전 시간이지만 청사 안이 온통 캄캄합니다. ...
홍수현 2012년 12월 05일 -

중부.강원 눈날씨로 항공기 결항
중부와 강원지방의 눈날씨로 항공기 운항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한국공항공사 제주본부에 따르면 오늘 오전 11시 10분 제주에서 원주로 가려던 대한항공 여객기가 원주공항의 눈날씨로 결항되는 등 지금까지 김포와 청주, 원주 등 국내선 50여 편이 결항되고 60여 편이 지연 운항됐습니다. 공항공사는 이용객들에게 공...
홍수현 2012년 12월 05일 -

(리포트) 에너지, 아끼고 덜 쓰고
◀ANC▶ 올 겨울은 고공행진하는 유가와 심각한 전력난 예고 속에 그 어느 때보다 에너지 절약이 요구되고 있는데요, 공공건물과 개인상가 할 것없이 조금이라도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현장을 홍수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제주공항 국제선 도착터미널. 오전 시간이지만 청사 안이 온통 캄캄합니다. ...
홍수현 2012년 12월 05일 -

(리포트) 제주 밀수 통로 우려
◀ANC▶ 최근 제주를 오가는 외국인 수가 크게 늘고 있는데요, 공,항만을 통한 밀수 시도도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국제공항 세관 조사실. 직원들이 50g 짜리 금바를 일일이 대조하며 살핍니다. 닭이 알을 품는 모형의 47g 짜리 금 장식품까지 모두 시가로는 1억2천여 만 원. ...
홍수현 2012년 12월 04일 -

(리포트) 제주 밀수 통로 우려
◀ANC▶ 최근 제주를 오가는 외국인 수가 크게 늘고 있는데요, 공,항만을 통한 밀수 시도도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국제공항 세관 조사실. 직원들이 50g 짜리 금바를 일일이 대조하며 살핍니다. 닭이 알을 품는 모형의 47g 짜리 금 장식품까지 모두 시가로는 1억2천여 만 원. ...
홍수현 2012년 12월 04일 -

(리포트) 전력수급 비상
◀ANC▶ 올 겨울은 어느 해보다 최악의 전력난이 예고되고 있는데요, 제주지역 전력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지역 전력공급 상황을 통제하는 전력거래소 상황실. 기온이 내려가면서 전력수요가 급증하자 직원들이 바빠졌습니다. ◀SYN▶ "전력부하가 올라가면 추가할 발...
홍수현 2012년 12월 03일 -

항공화물 운송 중단 철회
제주도 항공화물협의회는 대한항공의 제주노선 중.대형기 공급 축소에 따른 화물 운송 중단 방침을 내일(12/4)부터 철회한다고 밝혔습니다. 항공화물협의회는 제주도와 대한항공간 면담을 통해 농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운송 중단 철회를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항공화물협의회는 대한항공이 이달부터 김포 노...
홍수현 2012년 12월 03일 -

소비자물가 상승세 지속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제주지역 소비자물가 지수는 105.8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 올라 석 달 연속 1%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같은 달보다 7.3% 상승했고, 공업제품도 1.2% 올랐습니다. 특히 채소와 과일류 등의 가격변동을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13.1% 오르며 높은 상승률을 보...
홍수현 2012년 12월 03일